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개인은 카카오·삼전, 외인은 네이버·하이닉스...엇갈리는 선택

개인, 삼성전자 최다 매수… 카카오도 5위
외인은 네이버·SK하이닉스 매수 집중해
네이버·SK하이닉스, 실적 및 수익률 우세

ChatGPT로 생성한 이미지.

최근 투자 주체별로 업종별 선호 종목이 확연하게 갈리고 있다. 개인 투자자는 카카오와 삼성전자를 선택한 반면, 외국인은 네이버오 SK하이닉스를 집중 매수하며 수익률 측면에서도 유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4일까지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삼성전자로 1조5158억원을 순매수했다. 딥시크(DeepSeek) 수혜주로 꼽히는 카카오는 1973억원 사들이면서 5번째로 많이 담았다. 딥시크는 '가성비'로 평가되는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으로 등장과 함께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에 충격을 불러왔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은 기술력만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열리면서 딥시크 수혜주로 꼽히고 있다.

 

다만 외국인 투자자들은 카카오가 아닌 네이버를 선택했다. 네이버는 실적 등이 카카오보다 우위로 평가되고 있다. 같은 기간 외국인들은 네이버를 2416억원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네이버를 2979억원 순매도했다.

 

증권가에서는 네이버가 지난해 매출액 10조원을 달성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안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약 10조6788억원으로 예상됐다.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액 2조8278억원, 영업이익 5371억원을 기록해 시장예상치를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11.5%, 32.4%씩 오른 수치다.

 

반면, 카카오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조921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도 1120억원으로 30%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시장예상치를 하회하는 성과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는 2024년에도 다양한 신규 서비스 및 개편을 시도한 바 있지만, 쇼핑 탭의 개편에도 유저들의 지표는 크게 개선되지 못했으며 채팅창에 선보인 AI 서비스 역시 유저 반응은 냉소적이었다"며 "향후 카카오의 주가 향방은 업황 회복보다는 신규 개편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좌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도체 종목에서도 개인과 외국인의 상반된 투심이 유지되고 있다. 개인은 올해 삼성전자를 가장 많이 사들였지만, SK하이닉스는 1조375억원을 팔아치우면서 가장 많이 매도했다. 하지만 외국인은 이와 정반대로 SK하이닉스를 1조2690억원 순매수하고, 삼성전자를 1조9476억원 순매도했다.

 

수익률 측면에서는 외국인이 유리할 것으로 보여진다. 올해 들어 지난 4일까지 카카오의 주가는 7.06% 올랐으나, 네이버는 9.85% 상승했기 때문이다. 반도체주 역시 SK하이닉스가 9.89% 반등할 동안 삼성전자는 오히려 0.93% 떨어지며 약세를 보였다. 이날도 삼성전자는 0.38% 소폭 상승한 반면, SK하이닉스는 4.03% 강세를 보이며 희비가 갈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시장의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목표주가가 줄줄이 하향 조정되기도 했다. 이달 들어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내린 증권사는 총 9곳이며, 이 중 8곳이 7만5000원 이하를 제시했다. 김형태 신한증권 연구원은 "밸류에이션 부담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단기 실적 우려가 재차 부각될 것"이라며 "낮아진 눈높이를 하회한 실적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우려가 1분기까지 연장됐다"고 평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