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2050세대 10명중 3명 가상자산 보유…미래 통화 가치 상승 기대

가상자산의 투자목적이 단기목적에서 장기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하나금융그룹

우리나라 2050세대 중 27%는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은 가상자산 투자의 초반과 달리 유행을 좇아 가상자산에 투자하기보다 미래 통화로서의 가치상승 등을 기대하고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나금융연구소는 29일 '2050세대 가상자산 투자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국내의 가상자산 거래소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가상자산거래소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국민은 약 970만 명으로 전 국민의 20%에 달했다. 주식투자자의 77% 수준이다.

 

시가총액도 지난 2023년 말 55조 원에서 2024년 108조 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유행을 좇으며 단기 수익에 치중하던 것에서 가상자산의 발전을 기대하며 투자포트폴리오에 해당 영역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늘었다.

 

가상자산에 투자를 시작한 이유로 주변 영향과 유행을 쫓는 심리가 감소(57→ 34%)한 반면 새로운 투자 경험(26→ 44%), 성장 가능성,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목적이 증가했다.

 

투자 방식도 가상자산 출현 초기에는 수익률에 따라 수시로 매매한다(36%)는 것과 며칠 또는 몇 주 간격으 로 거래한다(33%)는 응답이 높았지만 최근에는 정기적으로 모은다(34%), 몇 개월 간격으로 거래한다(47%)는 응답이 늘어 계획적 투자가 증가했다.

 

거래소 이용시 76% 불편 경험/하나금융연구소

다만 투자자들은 여전히 기존 은행 계좌와 거래소 간 연동이 불가한 점이 불편하다고 지적했다. 1거래소 1은행 지정 제약이 완화될 경우 투자자 10명 중 7명은 우대 혜택을 주는 신규은행보다 주거래 은행을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들 중 43%는 앞으로도 가상자산에 투자할 것이라고 답했다. 투자 의향이 높은 이들은 미래통화로서의 가치상승, 기술 혁신 기대를 더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시장의 변동성 우려(56%)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투자 의향이 낮은 이들은 거래소 리스크(61%)나 사기위험(61%)을 더 크게 인지했다. 전통금융사의 역할이 확대되거나 법적 규제가 강화되면 투자를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윤선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가상자산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며 더욱 대중화될 전망"이라며 "가상자산 투자 확대는 은행에게 기회일 수도 또는 위기일 수도 있고, 가상자산 기반 금융상품의 다양화, 통합적인 투자 관리의 고도화, 가상자산 업계와의 협업 등 투자 생태계 확장에 대비할 선제적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