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M-커버스토리]AI 열풍에 전력 인프라 '풀가동'...전력 3사, 수주 랠리 예고

효성중공업이 지난 2023년 스코틀랜드에 공급한 초고압변압기. / 효성중공업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 노후 변압기 교체 수요가 본격화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업들의 서버 투자가 확대되면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신축 및 확장 수요도 급증하는 모습이다. 국내 전력기기 업계는 이같은 흐름에 편승, 대형 수주 랠리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력기기 빅3(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의 1분기 평균 공장가동률은 약 88%로 역대급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의 공장가동률은 각각 95%, 94%를 기록하며 사실상 '풀가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기간 HD현대일렉트릭의 수주잔고는 8조4939억원, 효성중공업 중공업 사업부문 수주잔고는 12조4253억원, LS일렉트릭은 3조8894억원으로 집계됐다.

 

효성중공업의 미국 테네시 멤피스 초고압변압기 공장 전경 / 효성중공업

 

 

이 같은 수주 확대의 배경에는 미국 ·유럽·중동 등 주요 시장의 전력망 교체 주기가 도래한 점이 있다. 미국 전력망은 1960년~1970년대 구축된 시설이 대부분이라 인프라 전면 교체가 필요해서다. 미국 내 송전선의 약 70%는 설계 수명인 25년을 초과해 교체가 시급하다. 유럽 또한 전력망의 약 40%가 사용된 지 40년 이상 지난 노후 설비로 향후 지속적인 변압기 수요가 예상된다.

 

올해도 전력기기 업계는 변압기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 5월 영국 스코틀랜드 전력회사 에스피 에너지 네트웍스와 400kV(킬로볼트)급 초고압 변압기 4대에 대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에는 유럽에서만 총 4억 3775만달러(약 6000억원)을 수주하며 지난 2020년 이후 연평균 44%의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효성중공업은 지난 5월 영국 송전기업 스코티쉬파워와 850억원 규모 초고압변압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LS일렉트릭은 이달 파워일렉트로닉스와 업무협약을 맺으며 글로벌 ESS(에너지저장장치) 전용 변압기 등 전력기기 공급 사업과 관련해 협력해나갈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전력기기 업계의 '피크아웃'우려도 제기됐다. 최대 수출국인 미국 변압기 시장의 초과수요가 진정되고 수급이 정상화될 경우 국내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재차 밝혀 미국 시장의 호황 전망과 공급자 우위의 시장 구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졌고 수요위축 우려의 일정 부분을 해소하고 있다는 게 업계 안팎의 중론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리서치네스터는 변압기 시장의 세계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337억7000만달러(한화 약 46조원)에서 오는 2037년까지 시장규모가 738억2000만달러(한화 약101조원)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새 정부의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과도 맞물리며 대규모 전력망 투자 확대가 현실화되고 있다. 해당 사업에 따라 620km 초고압직류송전(HVDC)망을 2030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전력기기 업계의 케이블 등 관련 제품 수요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AI 인프라 확산과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가 겹치면서 국내 전력기기 업체들에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글로벌 수주 확대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