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M-커버스토리]韓·美 양방향 증설 시동...K-전력기기, '몸집 불리기' 돌입

HD현대일렉트릭 미국 알라바마 법인 전경 / HD현대일렉트릭

변압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기기 업체들이 국내는 물론 미국 현지에 생산기지를 증설하는 데 분주하다. 노후 송전망 교체가 본격화된 미국에서는 변압기 수요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내 노후 전력기기 교체 수요가 많아진 데다 인공지능(AI)산업 급성장으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초고압 변압기 시장이 커지고 있다. 전력인프라감시·감독 기구 북미전력안정회사는 미국 전력 수요가 2030년 5000TWh, 2034년에는 5353TWh에 달할 것으로 진단했다. 미국의 연간 총소비전력 또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2년~2021년간 4000TWh(테라와트시) 미만이었던 미국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지난 2022년 들어 4000TWh를 돌파한뒤 지난해 4097TWh로 증가했다.

 

HD현대일렉트릭의 전력 변압기. / HD현대일렉트릭

◆시장 선점 위해 공장 증설 박차

 

HD현대일렉트릭의 1분기 매출은 1조 146억원으로 이 가운데 내수는 약 2030억원,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117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출 매출의 약 44%가 미국향으로 넥스테라에너지, 플로리다파워앤라이트, 아메리칸일렉트릭파워 등 북미 전력회사가 주요 고객으로 꼽힌다.

 

효성중공업 또한 지난해 매출액 5조 450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 중 미국향 매출액이 17.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LS일렉트릭의 1분기 매출액은 7382억원이며 이 가운데 수출이 차지하는 금액은 약 3195억원이다. 또 미국 법인 LS일렉트릭 아메리카를 통한 매출이 1137억원으로 전제 매출의 15.4%를 차지한다. 전체 수출액 가운데 약 36%가 미국향인 셈이다.

 

미국은 국산 변압기 수출비중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시장이다. 미국 빅테크 업체 대부분이 전력기기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어 앞으로도 수주 기회가 열린 시장이기도 하다. 이로인해 현지 생산물량 확대가 현재로서 가장 효과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이에 발맞춰 우리 기업들은 미국 현지 공장 증설에 지속 투자를 하는 모습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미국 앨라배마와 울산 변압기 공장 증설을 위해 2026년 초까지 4000억원 가량 투자를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7년 HD현대일렉트릭이 HD현대중공업에서 분사한 이후 최대 규모 투자로 2023년 전체 영업이익인 3152억원을 웃도는 규모다.

 

효성중공업은 미국 멤피스 공장 증설을 위해 72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미국 대형 변압기 시장에서 1위 업체로 도약할 계획이다. 신공장이 완성되면 12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 창출도 기대된다.

 

LS일렉트릭은 미국 내 변압기 전용 공장은 없는 상태다. 다만 지난해 부산사업장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1008억원을 투자했으며 또 미국 건설 계획을 밝히진 않았으나 텍사스에 부지를 확보하는 등 미국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 상태다. LS일렉트릭은 지난 4월 미국 텍사스주에 배스트럽시에 전력기기 생산과 연구, 설계 시설 등을 갖춘 '배스트럽 캠퍼스' 조성을 마쳤다. 앞으로 LS일렉트릭은 2030년까지 2억 4000만달러를 추가 투자해 생산 시설 확충을 한다는 계획이다. 회사가 지난달 미국 빅테크 데이터세터와 체결한 1625억원 규모의 배전반 및 전력기기 공급 계약 물량도 이곳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공급자 우위…'트럼프관세' 돌파

 

당초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에 불을 지폈지만 전력인프라 기업 중 현지에서 생산시설을 보유한 효성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은 관세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것으로 분석된다.

 

LS일렉트릭은 미국 현지에 변압기 전용 생산시설이 없어 16.87%의 반덤핑 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다만 해당 반덤핑 판정과 관련한 비용 인식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함께 따른다. 현재 미국 내 변압기 공급 부족으로 '쇼티지'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공급자 우위 시장이기에 관세 부담도 가격 인상 전가를 통해 흡수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에도 업계의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맞물려 수주 증가 여력도 높다고 판단된다"라며 "특히 미국에서는 초고압차단기 수주가 본격화되고 있어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