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샤오미 'AI 안경' 출격…삼성·구글, 맞불 시점은

메타 독주에 샤오미 도전장
삼성·구글 연합 개발 속도
애플도 시장 진입 준비중…2027년 출시 목표

중국 전자기업 샤오미가 지난 26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열린 신제품 발표회에서 '샤오미 AI 글래스'를 공개했다. /샤오미 홈페이지 갈무리

중국 전자기업 샤오미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안경을 선보이며 웨어러블 시장 경쟁에 본격 뛰어들었다. 메타·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가 이미 시장을 선점한 가운데, 삼성전자와 애플 등도 잇따라 출시를 준비하며 '눈 위의 플랫폼 전쟁'이 가열되고 있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등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열린 신제품 발표회에서 '샤오미 AI 글래스'를 공개했다.

 

신제품은 1200만 화소 초광각 카메라와 음성 기반 AI 비서 '샤오AI'를 탑재해 영상 촬영, 실시간 번역, 사물 인식, QR 결제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전기변색 렌즈는 0.2초 만에 색상이 바뀌며, 무게는 40g이다. 퀄컴의 AR 전용 칩셋 '스냅드래곤 AR1'을 장착했으며, 완충 시 최대 8시간 36분 사용할 수 있다.

 

중국 내 출고가는 1999위안(약 38만원)으로, 시장 예상보다 30~40% 높은 수준이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기즈모도는 "변색 렌즈, 연속 녹화, 결제 기능 등에서 메타의 레이밴 스마트 안경을 앞선다"고 평가했다.

 

샤람 이자디 구글 안드로이드 확장현실(XR) 부사장은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I/O 2025)에서 삼성전자, 젠틀몬스터와 함께 안드로이드 XR 기반 스마트안경을 연말 출시 계획을 밝혔다 /구글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 갈무리

한발 앞서 관련 시장을 선점해 온 구글도 삼성전자와 함께 AI 기반 스마트 안경 '프로젝트 해안'을 공동 추진 중이다. 샤람 이자디 구글 안드로이드 확장현실(XR) 부사장은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I/O 2025)에서 "삼성과의 협업이 스마트 안경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생태계를 함께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구글은 삼성전자와 XR 헤드셋을 만드는 프로젝트 '무한'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 협업을 스마트 글라스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하드웨어를, 구글은 AI 모델 '제미나이'를 비롯한 소프트웨어를 맡으며, 디자인은 국내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몬스터가 담당한다. 초도 물량은 약 50만 대로 알려졌으며, 올해 안에 개발자용 버전이 먼저 공개되고 내년 상반기 양산이 점쳐지고 있다.

 

LG전자는 공식적인 출시 계획은 발표하지 않았지만, 최근 중국에서 관련 특허를 확보하며 시장 진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LG전자는 착용감 개선·시야각 최적화 기술 등 '전자기기(특허번호 CN119895309A)'라는 이름으로 된 스마트 안경 관련 특허를 승인받았다. 휴고 스와트 퀄컴 부사장 겸 확장 현실(XR) 부문 본부장도 2023년 퀄컴의 스냅드래곤 서밋에서 "LG전자가 AR1 1세대를 활용한 스마트안경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스마트 글래스 시장은 메타가 주도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메타는 지난해 4분기 전 세계 XR 기기 시장에서 약 8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99달러(약 42만원)의 가격 경쟁력과 메타AI 탑재를 통한 실시간 언어 번역, 알림 기능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메타는 올해 말 스마트 글라스 3세대 신제품 출시를 예고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모습이다.

 

애플도 코드명 'N50' 경량형 글래스를 개발 중이다. 자사 AI 운영체제를 통합한 형태로 2027년 이후 출시가 목표다.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완성도와 생태계 연동을 앞세운 장기 전략이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글로벌 스마트 안경 시장이 2024년 약 1조2250억 원 규모에서 2030년 약 5조7562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AI 안경은 스마트폰을 잇는 차세대 인터페이스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