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묘향산, 신비로움

image

 

한반도 북쪽 지역을 대표하는 명산으로 묘향산을 꼽을 수 있다. 묘향산은 평안북도 향산군에 자리하고 있는 신비로운 기운을 품은 산이다. 이름처럼 기운이 향기롭고 오묘한 산으로 1,900미터의 비로봉을 비롯한 수많은 봉우리와 골짜기가 어우러져 용이 몸을 틀고 있는 형세를 보인다. 묘향산은 백두대간의 줄기에서 뻗어 나온 산맥이 서북부 지역에서 응집한 기운을 머금은 곳으로 천하명산으로 꼽힌다. 풍수에서 말하는 혈자리를 곳곳에 품고 있다. 깊은 계곡과 기암괴석 울창한 수림, 혈은 용맥이 멈춰 서고 뭉친 기운이 모여있는 지점이다. 이런 산은 자연의 기운이 밖으로 흩어져 사라지지 않고 에너지처럼 모이는 지형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형태의 혈자리가 존재한다.

 

혈자리가 많다는 것은 강한 정기를 품고 있다는 방증으로 묘향산의 정기가 단순한 산악의 장엄함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사방에서 모여드는 산세의 기운, 골짜기를 따라 흐르는 수맥이 어우러져 복합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오래전부터 불교의 성지로 알려진 것은 산의 정기가 특별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보현사로 고려 현종 때 처음 지어진 보현사는 중창을 거쳐 유명한 대사찰이 되었고 팔만대장경의 판본을 보관했다고 한다. 사찰은 묘향산의 혈자리와 가까운 곳에 지어졌다고 하며, 가람의 배치도 풍수 이론을 따르고 있다. 특별한 정기의 묘향산은 예로부터 영산으로 꼽혀서 문화적 중심이 되기도 했다. 산의 정기가 수행에 큰 도움을 주어서 많은 사찰이 들어섰고 신비로운 기운을 가진 산으로 여겨져 많은 무속인이 기도하러 찾아오기도 했다. 옛 기록에 따르면 묘향산에서 수행을 하면 마음이 고요해지고 머리가 맑아지니 거대한 에너지의 생명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