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대형·중형 잇는 원라인 완성… HD현대중공업, 美 공략 가속

설계·R&D 효율화로 원가 경쟁력·납기 동시 개선
조선소 통합 효과로 영업이익률 20%대 ‘성큼’
LNG·MR탱커 아우르는 통합 생산 체계 구축

HD현대중공업(위)·HD현대미포 야드 전경./현대중공업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조선의 합병이 K-조선의 미국 시장 공략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형 LNG선부터 중형 MR탱커까지 전 선종을 아우르는 생산 체계가 구축되면서 글로벌 조선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는 지난 23일 개최된 임시주총에서 '합병계약 체결 승인' 안건을 국민연금을 비롯 각각 참석 주주의 98.54%, 87.56%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통합 HD현대중공업이 오는 12월 1일 공식 출범하게 된다.

 

이번 합병은 단순한 외형 확장이 아닌 조선 전 영역을 아우르는 통합 체계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HD현대중공업의 강점인 LNG운반선·VLAC(암모니아 운반선) 등 고부가 대형선에 더해, HD미포의 MR탱커·소형 컨테이너선·LPG선 등 중형선 건조 역량이 결합됐다. 대형에서 중형까지 이어지는 '원라인 생산체계'가 완성되면서 조선소 간 생산라인을 유연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됐다.

 

생산 효율화뿐 아니라 관리체계 통합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설계·R&D(연구개발)·구매 조직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기자재 조달 과정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으로써 원가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박 크기별 기능을 재배치하고 생산라인을 최적화해 납기 단축과 품질 향상을 동시에 노릴 수 있다.

 

단순한 원가 절감이 아닌 조선소 신뢰도와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기반을 구축하게 되면서 영업이익률 역시 2025년 12% 수준에서 오는 2028년 20%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 합병을 통해 미국시장 공략에도 적극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다양한 톤급과 선종을 한 곳에서 공급할 수 있는 조선소를 선호하는데 HD현대중공업은 초대형 LNG선부터 중형 MR탱커, 자동차운반선(PCTC)까지 전 스펙의 선박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향후 미국 해양청(MARAD) 입찰에서 유리한 조건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조선업 보호법(Jones Act)'에 따라 자국 생산 선박만 내항 운항이 가능하지만 LNG선·해양플랜트·방산용 선박 부문에서는 해외 조선소의 참여가 허용된다. 통합을 통해 생산 효율화와 기술 내재화를 마치게 될 경우 본격적인 북미 수주전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HD현대중공업·미포 통합은 울산 중심의 효율화에서 출발하지만, 결국 글로벌 수주시장의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전략적 진화 과정"이라며 "내수 중심 조선에서 대양 중심 조선으로 나아가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증권 한승한 연구원은 "HD현대중공업은 방산 MRO와 해양플랜트, LNG 중심의 고부가 선종에 집중하며 수익 기반을 다변화하고 있다"며 "조직 슬림화가 아니라 중복 기능 정리와 생산 효율 극대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