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K-전선,역대급 수주에 고수익형 장기성장 체제 강화

LS전선 수주잔고 6조원대 유지…대한전선도 3조원 돌파
초고압 해저케이블 등 중심 성장 동력 강화
내년 북미·유럽 공략하며 수익성 개선 본격화

강원도 동해시 LS전선 HVDC(초고압직류송전) 전용 공장(오른쪽)과 충남 당진시 위치한 대한전선 HVDC 공장 전경./각 사

LS전선을 비롯한 국내 전선기업들이 큰 폭으로 증가한 수주잔고에 힘입어 저수익 프로젝트를 정리하는 등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호황이 2040년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전선 업계 양강 기업인 LS전선과 대한전선은 글로벌 전력망 수요 확대에 따라 해외 수출을 공격적으로 확대하며 성장 기반을 다지는데 주력하고 있다. LS전선의 올해 6월 말 기준 수주잔고는 6조2197억원으로, 지난해 말(6조2741억원) 대비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6조원대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확보했다. 지난 9월에는 대만 포모사4 프로젝트(약 1600억원 규모)를 수주하며 10회 연속 해외 프로젝트 수주 기록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또한 유럽향 지중케이블 내 초고압직류송전(HVDC) 비중을 확대했다.

 

대한전선의 올해 8월 말 기준 수주잔고는 3조2500억원으로 사상 최초로 3조원을 넘어서는 성과를 올렸다. 8월에만 전남 영광 안마해상풍력 해저케이블(1816억원), 싱가포르 400kV 초고압 전력망(1100억원), 카타르 초고압 전력망(2200억원) 등 총 5100억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에 힘입어 LS전선의 3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약 8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향 지중케이블 사업에서 HVDC 비중이 확대되며 수익성이 개선된 것이 주효했다. 대한전선의 3분기 영업이익도 약 3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적 개선 흐름과 함께 중장기 성장 전략도 구체화되고 있다. LS전선은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확보한 상태다. 지난 2023년 수주한 네덜란드 국영 전력망 운영사 테넷(TenneT)의 2조원 규모 해저케이블 프로젝트는 지난해부터 올해,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납품되며 실적에 반영되고 있다. 또한 2028년 완공 예정인 미국 버지니아 해저케이블 공장이 가동되면 북미 해저케이블 시장에서도 생산부터 납품까지 독자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아울러 내년 상반기 입찰이 예정된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프로젝트에서도 선정되면 하반기부터 납품이 시작돼 매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전선은 저수익 프로젝트 종료와 함께 북미·유럽 중심의 초고압 및 해저케이블 수주가 늘어나며 내년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대한전선은 지난 6월 캐나다 밴쿠버에 현지 영업법인을 설립하며 북미 시장 공략을 강화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전력망 교체 수요와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이 지속되며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신규 발주가 이어지고 있다"며 "시장 확대 추세에 발맞춰 글로벌 대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전환 흐름이 단기성 사이클이 아닌 장기 성장 국면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선 업황은 이제 막 시작 단계에 들어섰다"며 "유럽과 북미에서는 노후 전력 인프라 교체, 재생에너지 확산, AI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망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선업계가 핵심 공급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고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경우 호황이 2040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