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CEO 서밋 부대행사 ‘한화 퓨처테크포럼’ 열려
NATO·호주 등 글로벌 인사 한자리에…AI·안보 논의
AI와 첨단기술을 앞세운 한화 방산 3사가 '연대와 기술'을 축으로 한 글로벌 안보 협력 강화에 나섰다.한화는 '도발이 아닌 보호를 위한 기술'을 내세우면서 AI와 스마트 제조, 우주·에너지 분야 혁신 역량을 기반으로 국제 방산 네트워크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오션은 27일 경북 경주의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평화(Sustainable Peace for All)'를 주제로 '한화 퓨처 테크 포럼: 방산(Hanwha Future Tech Forum: Defense)'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행사로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외 방산기업 CEO를 비롯해 군 관계자, 안보 전문가 등 270여명이 참석했다. 국내에서는 KAI, LIG넥스원, 대한항공, HJ중공업, 풍산 등 주요 방산기업과 중소·중견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했으며, 해외에서는 L3해리스, 노스럽그루먼, BAE시스템즈, 사프란, 에어버스, WB그룹, 배브콕캐나다, GA-ASI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석해 교류의 장을 이뤘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는 환영사에서 "오늘날 AI와 첨단 제조 기술이 융합되는 대전환의 시대 속에서 평화를 지혜롭고 책임 있게 준비해야 한다"며 "한화의 기술은 도발이 아닌 보호를 위한 기술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평화를 위한 기술(Technology for Peace)'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AI, 스마트 제조, 우주, 에너지 등 미래 프런티어 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글로벌 안보 협력의 신뢰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포럼에서는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와 기술 혁신 방향을 주제로 다양한 연설과 토론이 진행됐다. 크리스토퍼 파인 전 호주 국방장관은 '전략적 경쟁시대 호주 방위산업 정책 전망'을 주제로 기술혁신과 국방 산업 간 협력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강은호 전 방위사업청장(현 전북대 교수)은 'K-방산의 미래: 기술 중심 산업 전환과 글로벌화'를 발표하며 한국 방위산업의 기술 중심 경쟁력 확보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진 대담 세션에서는 알렉스 웡 한화그룹 최고전략책임자(CSO)와 존 치프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회장이 'AI 시대의 기술주권과 경제 안보'를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두 사람은 AI가 글로벌 방위산업의 혁신과 억제력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국이 기술주권을 지키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정부와 국회 주요 인사들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방산 육성 의지를 밝혔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한화의 젊은 리더십이 국방 혁신과 글로벌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같은 K-방산기업이 혁신과 도전을 이어가면 대한민국 기술력이 세계에서 더욱 굳건히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기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안규백 국방부 장관의 축사를 대독하며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평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