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조선업계, 3분기 실적 선방에도 수익성 둔화 우려↑

LNG선 발주 둔화 속 초대형 컨테이너선 수주 확대 흐름 뚜렷
중국 조선소, 정부 지원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 강화
국내 조선사, 품질 저하·인력난 여파로 경쟁력 약화 우려

HD현대미포가 2022년 인도한 1,600TEU급 컨테이너선. / HD현대

국내 조선업계가 3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지만 최근 컨테이너선 중심의 발주가 늘어나면서 수익성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LNG 운반선 등 고부가 선종 발주가 주춤한 가운데 중국 조선소의 저가 공세로 컨테이너선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3분기 영업이익이 28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2% 급증했다. 삼성중공업은 2381억원으로 99% 증가했으며 HD현대중공업도 4827억원으로 134%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조선 3사는 LNG 운반선 중심의 고부가 수익 구조가 유지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글로벌 발주 시장의 흐름이 변하면서 조선사들의 수주 전략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LNG 운반선 발주가 줄어들자 조선사들은 최근 글로벌 선사들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수주에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수주한 95척 중 59척을, 한화오션은 전체 32척 중 13척을 컨테이너선으로 채웠다.

 

컨테이너선 수주 확대는 단기적으로 조선소 가동률 유지에 도움이 되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LNG 운반선은 단가와 이익률이 모두 높은 대표적 고부가 선종인 반면 컨테이너선은 중국 조선소와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 마진이 낮다. 중국 조선소는 한국 조선사보다 약 10%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적극적인 수주전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조선사의 컨테이너선 점유율은 2022년 32%에서 올해 1~9월 25%로 낮아졌고 중국은 같은 기간 60%에서 71%로 상승했다.

 

특히 중국 조선소는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지원을 기반으로 가격 경쟁력을 강화해온 반면 국내 조선업계는 2016년 구조조정 이후 숙련 인력 부족과 품질 저하 문제가 지속돼 왔다. 당시 대규모 감원으로 인력 공백이 생기자 외국인 비숙련 인력을 투입하면서 품질이 떨어졌다는 평가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1년 이후 선박 가격이 급등하자 선주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산 선박으로 발주를 전환했고 중국은 기술력과 품질 격차를 빠르게 좁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이 올해부터 중국산 선박의 자국 입항을 제한하면서 일시적으로 한국 조선사 수주가 늘었지만, 여전히 중국의 점유율이 높다"며 "한국산 선박의 품질이 예전만 못하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조선업은 지난 10년간 투자 부진으로 친환경·스마트 조선 기술 개발 시기를 놓쳤다"며 "이제는 연구개발(R&D)과 품질 제고에 집중해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숙련도가 높아지고 생산성이 개선되고 있는 만큼 품질 회복의 기반은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