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푸드

직접 짠 주스 마시면 혈당 조절·혈중 염증에 좋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국제심포지엄서 전남대 윤정미 교수등 발표
윤 교수 "투테인 풍부 채소주스 섭취, 혈중 염증 지표 개선 효과적"

 

지난달 30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국제심포지엄'에서 전남대 윤정미 교수가 발표를 하고 있다. /휴롬

직접 짠 채소주스를 마시면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고 혈중 염증 지표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휴롬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국제심포지엄'에서 '실천하는 저속노화: 과일 채소 섭취를 중심으로' 세션을 통해 전남대 윤정미 교수, 인제대 곽정현 교수, 상명대 황지윤 교수, 김병재 의학박사 등이 채소 과일 섭취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세션에서 전남대 식품영양과학부 윤정미 교수는 "루테인이 풍부한 채소주스 섭취는 혈중 염증 지표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윤 교수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18명을 대상으로 루테인이 풍부한 케일·시금치·사과 착즙주스를 섭취시킨 후 염증지표인 고감도 C-반응단백(hs-CRP)을 측정했다. 그 결과 섭취 12시간 후 17%, 24시간 후 26%, 30시간 후 39%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루테인이 풍부한 착즙주스는 섭취 후 30시간까지 염증지표를 지속적으로 낮춰 체내 염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휴롬과 산학 연구로 진행한 윤 교수의 이번 연구는 SCI급 저널인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에 올해 7월 게재된 바 있다.

 

인제대 식품영양·식품공학부 곽정현 교수는 "녹색 잎채소와 과일을 많이 섭취할수록 제2형 당뇨병 위험이 낮아진다"고 밝혔다.

 

곽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샐러리·양배추·케일·레몬 착즙주스를 빵과 함께 섭취했을 때 물과 함께 빵을 섭취한 경우보다 식후 혈당 증가 폭이 14.2% 더 적게 나타났다. 이는 레몬의 탄수화물 분해효소 활성 억제와 셀러리·케일의 낮은 당 함량 및 폴리페놀에 의한 체내 당 흡수 지연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곽정현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 예방을 위해 ▲식사 시 채소 먼저 먹기 ▲브로콜리, 시금치, 상추 등 비전분 채소 섭취 ▲사과, 배, 오렌지 등 저혈당지수 과일 선택 ▲첨가당이 들어간 주스는 피하고 채소 비중이 높은 신선한 착즙주스 섭취하기 등을 제안했다.

 

김병재 의학박사는 "채소, 과일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당뇨병 환자는 혈당 관리를 위해 과일 섭취를 제한하고 있다"며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채소, 과일 섭취가 오히려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추며, 특히 신선한 채소과일 착즙주스는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당뇨병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상명대 식품영양학과 황지윤 교수는 "질병관리청 기준 한국인의 채소 과일 일일 권장 섭취량은 500g으로, 최근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에 따르면 국민들의 채소 과일 섭취량이 2016년 331g에서 23년 221g으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이며 22%만 권장량을 섭취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대안으로 채소와 과일의 섭취를 높이고 붉은 고기, 가공육, 첨가당의 섭취를 줄이는 '지구건강식사(Planetary Health Diet)'를 제안했다.

 

'지구건강식사'란 지속가능한 식생활의 개념으로 과일, 채소, 콩류, 전곡류, 견과류의 섭취를 늘리고 붉은 고기, 가공육, 첨가당의 섭취를 줄이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