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삼양1963’으로 돌아온 우지 라면… 삼양식품, 36년의 한을 풀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열고, 1963년 국내 최초 라면인 '삼양라면'의 풍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미식 라면을 공개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삼양라운드스퀘어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牛脂)'를 활용한 라면을 선보이며, 창립 60주년을 맞은 브랜드의 정체성과 기술 혁신을 동시에 드러냈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열고, 1963년 국내 최초 라면인 '삼양라면'의 풍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미식 라면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삼양라면의 탄생지인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진행돼 상징성을 더했다.

 

특히 이날은 '우지파동'이 발생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로 삼양식품은 이날을 신제품 공개일로 선택하며 "정직과 진심으로 제자리를 찾는 상징적인 순간"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삼양1963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삼양라운드스퀘어

이날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우지 파동 당시 오해로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제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36년 만에 자신 있게 정직과 진심으로 제자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사필귀정'이라는 말이 가장 어울린다"고 말했다.

 

그는 "삼양1963은 단순한 복원이 아니라, 창업주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평생 품었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는 제품"이라며 "그리고 현재 삼양식품의 모든 임직원의 염원과 과거 회사를 떠나야 했던 1000여 명의 뜻까지 담았다"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또 "라면은 원가에 민감한 제품이지만 이번에는 원가 고민을 내려놓고 '진심으로 맛있는 라면'을 만들자는 데 뜻을 모았다"며 "좋은 재료를 아낌없이 써서 프리미엄 제품이 됐다"고 덧붙였다.

 

새롭게 선보인 '삼양1963'은 삼양라면 제조 레시피의 핵심이었던 우지(소기름)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삼양1963이 포장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있다. /삼양라운드스퀘어

삼양식품은 동물성 기름 우지와 식물성 기름 팜유를 황금비율로 섞은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극대화했다. 조리 시 면에서 우지 풍미가 육수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설계해 깊고 꽉 찬 국물 맛을 구현했다.면 또한 '우지유탕'에 어울리는 탱탱한 식감과 두께로 조정했으며, 국물은 소고기·사골·닭고기 베이스에 해산물 감칠맛, 무·대파·청양고추의 얼큰함을 더해 단조롭지 않은 미식형 라면으로 완성했다.

 

후레이크는 FD(동결건조) 공법을 적용해 큼직한 대파, 단배추, 홍고추로 구성했다. 삼양식품은 "정말 필요한 원재료만 넣어 재료 본연의 맛과 향, 식감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삼양식품 윤아리 부문장은 "동물성 유지라고 해서 살이 찌거나 건강에 나쁜 것은 아니다"며 "기름 1g당 열량은 식물성이든 동물성이든 동일하게 9㎉이며, 이번 제품의 콜레스테롤 함량도 계란 노른자 한 개보다 낮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지 원료는 팜유 대비 두 배 이상 비싸지만, '정말 잘 만든 라면'을 만들겠다는 의지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는 "과거 우지 논란은 익명의 투서 한 장에서 시작됐다"며 "당시 식품을 전공한 학생과 업계 종사자들은 진실을 알고 있었지만, 당시에는 미디어나 SNS가 없어 알릴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이제 와서 잘잘못을 따지자는 것이 아니라 그 경험을 미래의 성장으로 이어가겠다는 의미에서 삼양1963을 내놓았다"며 "삼양식품은 과거에도, 지금도 정직과 신뢰를 기업의 핵심가치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윤아리 품질안전부문장, 채혜영 삼양브랜드부문장, 김정수 부회장, 김동찬 대표이사, 이병훈 식품연구소장이 Q&A에 응하고 있다. /삼양라운드스퀘어

삼양식품은 이번 신제품으로 프리미엄 라면 시장 진입을 선언했다.

 

윤 부문장은 "라면 취식 빈도는 2030 세대가 높지만, 프리미엄 라면 구매 의향은 30대와 50대에서 두드러졌다"며 "제대로 된 맛을 찾는 젊은 세대와 과거의 향수를 기억하는 중장년층 모두를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1963년 한국 최초의 라면을 만든 기업으로, 최근 '불닭볶음면' 시리즈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다.

 

김정수 부회장은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라며 "한국의 미식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또 한 번의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