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엔비디아, 'AI 슈퍼컴퓨팅' 앞세워 설계·제조 혁신 속도

SK AI Summit 2025서 'AI 기반 반도체 제조' 비전 제시

'차세대 반도체 설계 및 제조를 위한 AI 슈퍼컴퓨팅'을 주제로 발표 중인 팀 코스타 엔비디아 반도체 엔지니어링 총괄./정희준 기자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슈퍼컴퓨팅을 앞세워 반도체 설계·제조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 오후 세션에서 엔비디아는 '차세대 반도체 설계 및 제조를 위한 AI 슈퍼컴퓨팅'을 주제로 AI 가속 연산을 활용한 반도체 설계·제조 효율화 전략을 공개했다. 팀 코스타 엔비디아 반도체 엔지니어링 총괄은 AI 슈퍼컴퓨팅이 반도체 산업의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설계와 공정, 로봇, 디지털트윈 등 전 과정에 AI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코스타 총괄은 AI 팩토리와 피지컬 AI를 차세대 산업 혁신을 이끌 양대 축으로 제시하며, AI가 반도체 설계부터 장비 제어·공정 최적화까지 직접 관여하는 구조를 설명했다. 반도체 제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AI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설계·공정 시뮬레이션, 소재 탐색, 생산 자동화, 로봇 비전 기술 등이 주요 적용 분야로 꼽혔다.

 

이날 발표에서는 설계·제조 전반에 AI 가속 연산을 적용하기 위한 'CUDA-X'와 'Physics NeMo' 등 시뮬레이션 플랫폼 역시 소개됐다. 특히 NeMo는 회로·광학·소재 물리 시뮬레이션에 AI 모델을 결합해 기존 대비 최대 300배 이상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했으며, SK하이닉스와 협업한 'AI 공정 시뮬레이션(TCAD)'는 360배의 연산 효율 개선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코스타 총괄은 "AI와 반도체는 상호 발전의 선순환 구조에 있다"며 "AI가 반도체를 설계하고, 반도체가 다시 AI의 학습과 추론을 가속하는 순환 구조가 앞으로의 산업을 재편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