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AIP·리튬 하이브리드 세계 최초…K-잠수함, 기술력으로 세계시장 공략 가속

리튬이온·AIP 병용 추진으로 장시간 잠항… VLS 10셀로 전략타격 능력 강화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체급 이원화 구축… 한국형 잠수함 기술 표준화 가속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전경./한화오션

국내 잠수함 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고 있다.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각자 축적한 기술을 바탕으로 '원팀'을 구성, 해외 사업에 나서며 글로벌 점유 확대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과 캐나다는 최근 APEC 정상회의에서 국방·방산 협력 강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한화오션은 KSS-III 배치-II 설계를 기반으로 한 3600t급 디젤·전기추진 잠수함 '장영실함'을 제안했다. 이 함정은 연료전지 기반 공기불요추진(AIP)과 리튬이온 배터리를 함께 탑재한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로 최대 3주 이상 수중 작전이 가능하다. AIP는 장시간 정숙 항해를, 리튬배터리는 고속·회피 기동 등 단시간 고출력 운용을 담당한다.

 

무장 능력도 전략급으로 격상됐다. 장영실함은 10셀 수직발사체계(VLS) 를 갖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운용이 가능하며, 향후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탑재까지 고려한 구조다. 선수·측면·예인 소나 등 다중 소나 체계와 선체 음향 코팅을 적용해 탐지·회피 성능도 강화했다. 국산 부품 비중을 높여 국가별 요구 성능에 맞춘 제작과 후속 군수지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는 한국이 AIP와 리튬배터리를 병용하는 실전형 추진체계를 통해 장기 잠항성과 순간 기동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연료전지 AIP와 리튬배터리의 병용 운용은 장영실함이 세계 최초로 알려졌다. 일본은 '타이게이급'에서 리튬 중심으로 효율을 높였으나 AIP를 제외했고, 독일·프랑스는 차세대 AIP와 리튬 통합을 단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스웨덴은 스털링 AIP 기반으로 연안 은밀성에는 강점을 지니지만 고출력 기동 성능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것으로 평가된다.

 

무장 구성에서도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 재래식 잠수함(SSK)임에도 SLBM 운용 능력을 확보해 전략급 타격 플랫폼으로 올라섰다. 국방부에 따르면 도산안창호함의 SLBM 발사시험 성공으로 한국은 미국·러시아·중국·영국·프랑스·인도에 이어 세계 7번째로 SLBM 잠수함 발사 시험에 성공한 국가가 됐다. 일본은 장거리 스탠드오프 미사일과 VLS 적용을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필리핀의 첫 잠수함 도입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필리핀은 '군 현대화 3단계' 계획에 따라 잠수함 전력 구축을 추진 중이며, 한화오션은 기지·MRO센터·시뮬레이터 교육체계까지 포함한 통합 패키지 제안을 내놨다. HD현대중공업은 중형급 잠수함 기술을 앞세워 남미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최근 페루 국영 시마(SIMA)조선소와 1500t급 'HDS-1500' 공동개발·건조 의향서(LOI) 를 체결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잠수함을 조선·전자·무기·에너지·소재 기술이 결합된 국가 전략산업으로 평가한다. 윤현규 국립창원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KSS-III는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개념·기본설계를 공동 수행하고, 이후 방위사업청 경쟁입찰을 거쳐 한화오션이 상세설계를 맡은 완전 독자개발 모델"이라며 "상선 조선 강국의 기반을 잠수함 기술력으로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