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국내 뷰티, 'K화장품 제조' 성장세 고공행진..."미국법인 체질개선은 과제"

미국 펜실베니아에 위치한 한국콜마 미국법인의 제2공장 전경. /한국콜마.

국내 대표 화장품 제조 기업들이 올해 3분기 호실적을 기록하며 K뷰티 성장세를 이어갔다. 한국콜마는 국내 대표 화장품 제조 기업으로 1위 위상을 높였고 코스메카코리아도 신흥 강자로 자미래김하고 있다.

 

한국콜마는 올해 3분기 실적으로 6830억원의 매출과 58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 영업이익은 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4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 커졌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한 실적으로는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에서 두 자릿수의 성장세가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누적 매출은 11% 늘어 2조670억원을 기록했다. 누적 영업이익 1918억원과 누적 당기순이익은 1074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각각 21%, 33% 증가했다.

 

다만 국내법인과 미국법인에서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콜마 국내법인이 매출 3220억원, 영업이익 443억원, 영업이익률 14% 등 3분기 실적으로는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특히 기존에 강점을 보여온 선케어는 물론, 스킨케어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분기 매출 비중은 스킨케어 49%, 선케어 28%, 메이크업 17% 등으로 이뤄졌다. 지난 2분기에도 스킨케어43%, 선케어 33%, 메이크업 18% 등의 매출 구조가 집계된 바 있다.

 

이와 관련 회사 측은 "핵심 고객군에서 다변화를 빠르게 이뤄냈다"며 "국내 최대 선케어 브랜드가 최대 고객사로 부상했고 유럽 스타일의 스킨케어 브랜드가 약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미국법인 매출은 81억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다. 영업적자는 64억원으로 적자폭을 키웠다. 미국 1공장과 2공장의 합산 영업적자 30억원과 기술영업센터 비용 34억원이 포함됐다. 올해 7월부터 미국 현지 제조를 본격 시작한 2공장의 경우, 미국 관세에 대한 우려감이 완화되면서 고객 주문이 연기됐다.

 

이에 따라 회사 측은 '메이드 바이 콜마' 전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공장 가동률 상승을 위한 영업 활동을 추진해 화장품 제조개발생산(ODM)뿐 아니라 OEM(위탁생산)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국 인천 소재 잉글우드랩코리아 전경. /코스메카코리아.

코스메카코리아는 올해 3분기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분기 최대 실적을 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올해 3분기 실적으로 연결기준 매출 1824억원과 영업이익 272억원을 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79% 늘었다. 코스메카코리아 한국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해 1298억원이다. 미국법인 매출도 50% 증가한 618억원이다.

 

코스메카코리아는 국내외 인디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수주를 매출 성장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자체 개발한 신제형을 고객사에 적극 제안하는 등 브랜드 성장을 뒷받침하며 성과를 거뒀다.

 

미국법인의 경우, 미국 뉴저지와 한국 인천에서 생산 시설을 동시 운영하며 관세 정책과 공급 불확실성에 유연하게 대응해 왔다. 코스메카코리아 측은 "최근 미국 현지에서 K뷰티 인디 브랜드를 비롯해 글로벌 인디 브랜드의 신규 수주까지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코스메카코리아는 올해 다양한 해외 뷰티 전시회에서 파트너십을 확장했다. 지난 9월 미국에서 열린 '메이크업 인 뉴욕 2025'에서 화장품 제조 및 공급 업체로서 글로벌 브랜드와 활발하게 교류했고 앞서 5월 개최된 패키징 전문 전시회 '럭스팩 뉴욕 2025'에서는 친환경 소재를 선보이며 자사 제품력을 알렸다.

 

코스메카코리아 관계자는 "미국 내 생산 기반을 거점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고 현지 영업망을 확충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