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디스플레이 유리기판, ‘가격 중심 구조’ 전환…3분기 매출 사상 최대

수익성 전략 전환에 장기 침체 끝…단가 25% 이상 상승

코닝의 프리미엄 기판 유리 제품군/코닝

10년 넘게 침체를 겪었던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유리기판) 시장이 가격 중심 구조로 전환하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주요 제조사들이 점유율 경쟁을 멈추고 수익성 중심 전략으로 선회하면서 시장이 장기 저가 경쟁에서 벗어나 재편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글로벌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매출은 약 2700억 엔(한화 약 2조56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분기 대비 5%,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디스플레이용 글라스는 일본 엔화를 기준으로 거래되며, TV·모니터·모바일 기기 등 대부분의 패널 공정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다.

 

이번 매출 증가는 업계의 전략 전환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시장은 2011년 액정표시장치(LCD) TV 감산 이후 10여 년간 공급 과잉과 가격 경쟁으로 침체가 이어졌다. 주요 제조사들은 2010년대 중반까지 패널업체에 저가 공급을 지속하며 점유율을 유지했지만 급격하게 수익성이 악화됐다. 이에 기업들은 2022년 이후로 생산량을 출하량에 맞춰 조정하고 신규 탱크 증설을 자제하며 공급보다 수익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23년 하반기부터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미국 코닝이 가격 인상을 주도했으며, 2024년에는 일본 AGC와 니폰일렉트릭글래스(NEG)가 동참했다. 지난 2년간 전체 유리기판 단가는 25% 이상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가격 구조 전환은 단기적으로 패널 원가 부담을 높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정상화 과정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중국 업체들은 G8.5급 탱크 투자를 지속하며 추격에 나서고 있다. 2010년대 중반 G5급 유리로 시장에 진입한 이후 저온 폴리실리콘 이전 세대(a-Si) 패널용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확보했으며, 향후 5~10년 내 대형 글라스 시장에서도 품질 격차를 좁힐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패널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엇갈린다.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은 구조상 유리기판을 여러 층으로 사용하는 반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은 일부 공정에서 플라스틱 등 대체 소재를 활용해 유리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 때문에 유리기판 가격 상승의 영향은 LCD 중심 기업에 더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이미 OLED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 대형 LCD 패널 생산을 종료했으며, LG디스플레이도 2025년 상반기에 중국 광저우 LCD 라인을 매각하고 OLED 중심 체제로 전환 중이다. 반면 BOE·CSOT 등 중국 업체들은 여전히 LCD 생산 비중이 높아,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타다시 우노 리서치 매니저는 "주요 글라스 제조사들이 단기적으로는 수익 창출에 집중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반도체용 글라스·유리관통전극(TGV)·HDD용 서브스트레이트 등 신사업 투자를 준비하는 단계로 보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