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2018년 대비 53~61% 감축' 목표

연내 유엔 제출의무
'10년치' 국가기후예측시스템 개발 추진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우리나라가 오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의 연간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61%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이상기후에 따른 재난 대응을 위해 10년 후 상황까지 예측하는 '국가기후예측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10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순배출량(7억4200만 톤CO2eq) 대비 53%~61% 감축으로 정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이는 ▲기후위기 대응의 시급성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권고 ▲지난해 8월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 취지 ▲미래세대의 감축부담 ▲산업계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해 내건 목표다.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파리협정에 따른 것이다. 올해 안에 각국이 스스로 온실가스 감축 수준을 정해 국제연합(UN)에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2035 NDC 수립을 추진해 왔고, 올해 9월19일부터 10월2일까지 대국민 공개토론회(6회)와 11월6일 공청회 등을 개최한 바 있다.

 

김민석 총리는 "국가온실가스감축 목표는 기후위기 극복과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전략의 이정표"라며 "올해는 녹색전환과 재생에너지 확대 등 우리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탄소중립사회의 본격적인 도약을 위해 책임 있으면서 실현 가능한 2030 목표를 협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우선 전력 부문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등 전력망을 확충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석탄 등 화석연료 발전을 줄여 나간다. 2018년 대비 68.8%~75.3%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산업 부문은 강도 높은 혁신 지원을 바탕으로 연·원료의 탈탄소화, 공정의 전기화, 저탄소제품 생산 확대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4.3%~31.0% 범위의 감축을 꾀한다.

 

건물 부문은 제로에너지건축과 그린리모델링 확산, 열 공급의 전기화를 통해 53.6~56.2% 감축을 추진한다. 또 수송 부문은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내연차 연비개선, 대중교통 활성화 등을 추진해 60.2%~62.8%까지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날 탄녹위 회의에서는 '제1차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본계획'도 수립됐다.

 

기후부 관계자는 "일상이 돼버린 기후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0년 후까지 예측하는 '국가기후예측시스템'을 개발(기존 1, 3개월 기후전망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일관성 있는 기후변화 정책 수행을 위해 100년 후까지를 전망하는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생산해 보다 확장된 기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고 했다.

 

아울러 AI(인공지능)를 활용한 기후예측기술 고도화를 통해 사회 각 분야의 기후위기 적응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