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유로존, 경제성장률 ‘희비’…프랑스 0.5%, 독일 0.0%

3분기 GDP, 프랑스 0.5%↑ 수출 급증·수입 감소, 재고는 성장 깎아
독일·이탈리아 0.0%…설비투자 ‘반짝’에도 제조·수출이 발목, 스페인은 0.6%로 선방

유럽연합 내 단일통화권 유로존의 유로화 상징물./뉴시스

유로존의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0.2% 늘었지만 국가별 흐름은 갈렸다. 프랑스는 0.5%로 속도를 높이고 스페인이 0.6%로 견조한 반면 독일·이탈리아는 0.0%에 묶였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유로존 3분기 경제성장률(전기 대비)은 0.2%로 2분기(0.1%)보다 소폭 높아졌다. 시장 예상(0.1%)을 웃돌았다.

 

국가별로 보면 프랑스는 0.5%로 속도를 냈다. 프랑스 통계청(INSEE)은 수출이 2.2% 급증하고(항공 중심), 수입이 0.4% 줄면서 순수출이 성장에 0.9%포인트(p)를 보탰다고 밝혔다. 다만 재고변동의 기여도는 -0.6%p로 성장률을 일부 깎아냈다. 내수(재고 제외)는 0.3%p를 더했다.

 

스페인은 0.6%로 견조했다. 스페인 통계청(INE)에 따르면 내수가 1.2%p를 밀어올린 반면 순수출은 -0.6%p로 성장률을 깎았다. 소비·투자 중심의 '내수형' 회복이 이어진 셈이다.

 

반면 독일은 0.0%로 '제자리' 걸음을 했다. 독일 연방통계청(Destatis)은 "기계·장비 투자 등 설비투자는 플러스였지만 수출이 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제조·수출 비중이 큰 구조 탓에 대외수요 둔화가 곧장 성장률을 제약하는 양상이다.

 

이탈리아도 0.0%였다. 이탈리아 통계청(ISTAT)은 3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보합(전년 동기 대비 +0.4%)이라고 예비 추정을 제시했다. 관광 회복 효과가 있었지만 산업·건설의 약세가 상쇄했다는 해석이 뒤따른다.

 

정책·환경 변수도 성장의 결을 갈랐다. 서비스 중심 회복은 금리 인하 축적 효과와 맞물려 9월 유로지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51.3(10월 53.0 최종치)으로 확인된다. 반면 제조의 글로벌 수요 약세·무역마찰은 순수출을 흔든다. 외신 분석에 따르면 일부 수출은 통상 불확실성 확대 전 '선(先)출하'가 관측됐다는 지적도 있다.

 

물가와 대외 여건은 '회복의 속도'를 제약할 변수다. 10월 유로존 조화소비자물가지수(HICP)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해 목표치(2%) 근처지만, 서비스 물가가 3.4%(9월 3.2%)로 여전히 높다. 서비스 물가는 임금·수요 압력이 반영되므로 금리 인하의 속도 조절 요인이 된다. 환율은 최근 달러 강세·유로 약세 흐름이 나타났고 통상정책 불확실성도 남아 있어 순수출·설비의 탄력을 제약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유럽 중앙은행(ECB)은 10월 회의에서 '데이터 의존·회의별(meeting-by-meeting)' 판단을 재확인하고 금리를 2.00%로 동결했다. 라가르드 ECB 총재는 물가가 목표 부근이고 서비스 물가·성장 모멘텀의 불균형이 남아 있다며 빠른 연쇄 인하보다 '회의마다 새로 판단'을 강조했다. 임금상승 둔화와 물가 안정 진전이 확인되지만, 서비스 물가·성장 모멘텀의 불균형을 의식한 '속도보다 규칙'의 선택이다.

 

3분기 유로존의 성장률 0.2%는 '프랑스·스페인 가속, 독·이 정체'가 만든 평균치다. 서비스 내수의 체력은 확인됐지만, 독일 제조·수출의 반등이 없으면 회복의 속도는 제한될 전망이다. 4분기 관전포인트는 ▲서비스 견조함의 지속성 ▲설비투자 반등의 퍼짐(독일·이탈리아로의 확산) ▲환율·통상 변수 하에서 순수출의 방어력 등이 꼽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