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한국, 모처럼 경제성장률 상위권...3분기 OECD서 3위, G20 1위

경제규모 20위권만 보면 선두
38개 회원국 중 26개국 취합

프랑스 파리 소재 경제협력개발기구 본부 /OECD 홈페이지 갈무리

 

 

우리나라가 실로 오랜만에 경제성장률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분기별 성장 비교이고 아직 올해 3분기 수치의 취합이 끝나지는 않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위를 달리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협의체에서는 중간순위 1위다.

 

23일 OECD 홈페이지 내 집계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직전분기와 비교해 1.2% 증가했다. 1%대 이상을 기록한 국가는 4곳뿐인데 이스라엘(3.0%), 코스타리카(1.3%)에 이어 한국이 3위, 스웨덴(1.1%)이 4위에 자리했다.

 

총 38개 회원국 가운데 이날까지 26개국 수치가 공개됐다. 이 중 일본(-0.4%)이 최하위로 처지는 등 경기가 2분기에 비해 후퇴한 국가가 6곳이나 됐다.

 

우리나라는 경제규모 세계 10위 안에 드는 국가들에 크게 앞섰다. 일본 역성장을 비롯해 독일과 이탈리아가 0.0%로 제자리걸음 했고, 캐나다와 영국 GDP도 각각 0.1%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위권에서도 멕시코 -0.3%, 네덜란드 0.4% 등으로 나타났다. 유로존국가 평균은 0.2%였다.

 

1위에 오른 이스라엘의 경우, 직전분기 역성장(-1.1%)에 따른 기저효과가 일정 부분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한국은 2분기 0.7% 성장에 이어 3분기에 1.2%로 GDP 증가세가 더 뛰었다. 경제규모 20위권 밖인 이스라엘과 코스타리카를 제외하면 한국 성장률이 주요국 가운데 사실상 가장 컸다.

 

이 밖에 프랑스 경제가 0.5%, 스페인이 0.6%, 포르투갈이 0.8% 성장했다. 미국 집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한국은 G20 협의체 중에서도 중국(1.1%)을 넘어서며 인도네시아(경제규모 세계 16위)와 함께 공동 선두에 올라 있다. 이날 기준 총 19개국 가운데 10곳이 3분기 수치를 발표했다.

 

한국 경제는 2022년부터 최근 15개 분기 동안 1%대 성장이 총 2회(이번 분기 포함)에 불과했다. 역성장이 3회(2022년 4분기, 2024년 2분기, 2025년 1분기)나 됐고 일본에도 여러 번 뒤졌다.

 

국내외 각 기구·기관은 한국의 올해 연간 성장률이 1.0%에 턱걸이할 것으로 전망해 왔다. 1% 미만을 예측하는 곳도 많았다. 1분기(-0.2%) 경제가 뒷걸음질한 데다 미국발 관세정책 등에 따라 다소 회의적인 관측이 그간 우세했다.

 

하지만 2, 3분기 연속 호조에 따라 4분기에 거는 기대감도 커지게 됐다. 연간 기준으로도 일본보다 나은 수치를 내보일 가능성이 높아진 데다 1% 선은 무난히 지킬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시장이 일부 낙관론으로 전환한 배경에는 3분기 GDP 속보치(1.2%)가 한국은행의 예측치(1.1%)를 넘어선 데 있다. 또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됐고 반도체 등의 수출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한국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기구·기관이 나올지 주목된다.

 

지난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정규철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언론설명회를 갖고, 반도체 경기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하반기 들어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으며 내년에는 개선 폭이 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