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30·B787, 협동체의 최대 3배 화물 적재…티웨이·에어프레미아 실적로 효과 입증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수익성 방어 전략으로 밸리카고(여객기 하부 화물)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대형기 도입이 늘면서 밸리카고 수익성이 한층 강화되는 추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파라타항공은 24일 다낭발 인천행 WE202편을 시작으로 밸리카고 사업을 본격 개시한다. 첫 투입 기재는 A330 대형기로, 첫 운항부터 페이로드(적재율) 100%를 채웠다. 계절·시황에 따른 변동이 큰 여객 수요와 달리 화물 수요는 비교적 안정적인 만큼 파라타항공은 대형기를 앞세워 화물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스웨덴 교통·환경 전문 연구기관 NTM은 A330·B777이 A320·B737 등 협동체 기종보다 최대 세 배 가까이 많은 화물을 싣는 것으로 평가한다. 협동체의 밸리카고 적재 한도가 약 19~20톤인 데 비해 A330은 46~51톤, B777은 60~70톤 수준이다.
대형기 도입 효과는 실적 변화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글로벌 물류기업 엑스트란스글로벌은 티웨이항공의 화물 처리량이 지난 2022년 말 A330 도입 이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한다. 2022년 7800톤 수준이던 화물 물량은 A330 투입이 본격화된 2023년 1만6800톤으로 크게 늘었다. B787-9를 주력으로 운용하는 에어프레미아의 지난해 총매출은 4916억 원이며, 이 중 화물 매출 비중이 약 13.2%로 나타났다.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는 전자상거래와 인공지능(AI) 서버·반도체·배터리 등 고부가 화물 증가에 힘입어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기를 운용하는 항공사들은 넉넉한 화물 적재 능력을 앞세워 화물 사업 비중을 키우고 있으며, 티웨이항공은 자동차 부품·기계류 등 중량 화물을 ULD(항공화물 컨테이너)에 실어 나르며 화물 처리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에어프레미아는 의약품 운송 국제표준(CEIV Pharma)·신선식품(CEIV Fresh) 인증 취득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본사의 글로벌 물류 플랫폼 기업과 협업해 전자상거래(E커머스) 운송 절차를 단순화하고 양극재·휴대폰·자동차부품 등 미국행 일반 화물 비중을 키우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아마존 에어카고와 인터라인 계약을 체결해 인천~호놀룰루 구간을 맡으며 미주 화물 노선도 넓혔다. 파라타항공은 글로벌 물류기업 엑스트란스글로벌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안정적인 물량 확보 구조를 마련했다.
기단과 전략이 다른 저비용항공사들도 밸리카고를 통해 화물사업 저변을 넓히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1월부터 밸리카고 운송을 본격화해 전자상거래·전자제품·자동차 부품 등을 주로 싣고 있으며, 국내 항공사 최초로 글로벌 항공물류기업 ECS그룹의 'TCM(Total Cargo Management)' 솔루션을 도입해 화물 예약·운송·추적을 일괄 디지털 관리하고 있다. 제주항공도 여객기 밸리카고를 활용해 화물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화물 사업이 여객사업을 보완해 체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네트워크 경쟁력, 포트폴리오 균형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