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연극/뮤지컬

[뮤지컬리뷰] 창작 뮤지컬 한계 깬 '프랑켄슈타인'



국내 창작 뮤지컬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 작품이 등장했다. 11일 충무아트홀에서 개막한 '프랑켄슈타인'은 극본·연출부터 음악·세트까지 해외 라이선스 대작 뮤지컬과 견줘도 손색 없는 무대를 선보이며 기존 창작 뮤지컬의 한계를 깼다.

영국 작가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이 원작인 이 작품은 언뜻 보면 라이선스 뮤지컬 같지만 원본 텍스트만 참고했을 뿐 기획부터 제작까지 100% 국내 창작진의 손으로 탄생된 토종 뮤지컬이다. 충무아트홀이 개관 10주년 기념작으로 그간의 역량을 총동원해 무대에 올렸다.

극의 기본 축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신이 되려는 인간과 인간의 손으로 창조된 괴물의 대립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원작을 그대로 무대에 올리기보다는 앙리 뒤프레라는 새롭게 창작한 인물을 투입해 색다르게 가공했다.



사람의 시체로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실험을 하는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의 조력자이자 친구인 뒤프레가 죽자 그를 이용해 새로운 존재를 탄생시킨다. 그러나 다시 살아난 뒤프레는 괴물에 지나지 않았다. 빅터에게 버림 받고 인간들에게 모질게 당한 괴물은 결국 창조주 빅터를 저주하며 복수극을 펼친다.

빅터와 괴물의 만남부터 대립까지 이야기가 스릴있고 흥미롭게 펼쳐져 3시간의 긴 공연 시간이 지루하지 않다. 괴물과도 같은 삶을 사는 인간들의 이기적인 모습, 인간보다 더 인간 같은 마음을 지녔지만 결코 인간이 될 수 없는 괴물의 고뇌는 선과 악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관객에게 인간답게 사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삼총사' '잭 더 리퍼' 등 다양한 유럽 뮤지컬을 무대에 올려 호평을 받은 연출자 왕용범이 그동안의 경험을 집대성해 '프랑켄슈타인'에 쏟아부었다.

괴물이 탄생하는 실험실, 빅터와 괴물이 쫓고 쫓기는 음산한 숲 등의 세트는 화려하고, 무대도 유기적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무엇보다 그동안 창작 뮤지컬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음악의 완성도가 탄탄하다. 비록 '오페라의 유령'이나 '캣츠'와 같은 세계적인 뮤지컬처럼 귀에 꽂히는 한방은 없지만 자연스럽게 귀에 착 감겨 창작 뮤지컬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할 만하다.



빅터 역과 괴물을 괴롭히는 격투장 주인 쟈크 역의 유준상·류정한·이건명, 뒤프레 역과 괴물 역의 박은태·한지상 등 전 배우들이 완전히 상반된 캐릭터를 1인2역으로 연기하는 모습을 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다. 박은태는 괴물의 몸짓과 목소리까지 섬세하게 연기하며 완벽한 캐릭터 표현력을 보여준다.

물론 첫 시험대에 오른 뮤지컬인만큼 지적할 부분이 없지 않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지난해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끈 유럽 뮤지컬 같은 느낌이 강하다. 흥행 측면에서 안전을 꾀한 영리한 선택처럼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런 점에서 독창성이 부족하고, 특히 화려한 유럽식 의상과 파티 장면은 식상한 느낌을 준다.

극 중간 중간 앙상블이 등장해 춤을 추는 장면도 전체적인 줄거리와 큰 상관이 없는데도 짧지 않은 분량을 차지해 군더더기로 남는다.

그럼에도 '프랑켄슈타인'의 등장은 한국 창작 뮤지컬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더욱이 창작극 초연은 성공이 결코 쉽지 않은데 이 작품은 라이선스작에 뒤지지 않는 흥행 요소를 두루 갖춘데다 최근 공연계가 이렇다할 대작이 나오지 않는 시기라는 점에서 흥행까지 기대해볼만 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