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은행, 연말 단기자금 이슈 재현될까?

은행이 코코본드 발행 때 금리 산정의 기준으로 삼는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달 9일 이후 사흘간 연 1.671%에서 1.937%로 0.267%포인트 상승했다.

시중은행들은 '2015년 말의 단기 자금 이슈의 트라우마'가 재연될까 걱정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12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상을 전후로 은행채 발행이 뚝 끊긴데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연말엔 가계·기업들의 자금 수요까지 겹치는 시기 이기 때문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은행채 발행규는 99조6000억원으로 집계된다. 발행잔액은 243조8000억원 규모다. 올해 은행채 만기는 104조5000억원이다.

시장과 은행권 안팎에서는 단기 자금이슈가 불거질 가능성에 예의 주시한다. 은행권의 자금조달이 뚝 끊겼는데 가계대출과 기업들의 수요가 늘고 있어서다. 지난 10월 금융채 발행액은 7조485억원으로 전월대비 30.3%나 줄었다. 은행 등 금융권이 금리 인상을 앞두고 자금 조달을 미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과 은행권에서는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신한금융투자 김상훈 연구원은 "은행채 발행 증가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궁극적인 트리거(방아쇠)는 영업적 예금규제 강화다"면서 "속도가 빠르진 않아도 영업적 예금을 인정하지 않은데 따른 순현금유츌액은 걱정하는 수준 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재계약으로 비영업적 예금이 점진적으로 영업적 예금으로 전환될 것이다"고 말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최근 4년간 은행채 발행의 동력은 가계대출이었다. 정부의 규제로 수요가 급격히 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연말은 시기적으로 기업대출이 늘어나는 만큼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중이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1400조원대의 가계부채를 안정시키기 위해 6.19, 8.2, 가계부채종합대책(10.26) 등 다양한 규제를 쏟아내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가계신용대출 증가 폭은 올 들어 최대를 기록했다. 국민, 신한, KEB하나, 우리, 농협 등 5개 대형은행의 11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525조6689억원으로 전달(521조180억원)에 비해 4조6509억원 늘었다. 12월에도 이같은 증가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내년 초 시행되는 신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를 앞두고 앞당겨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기업들의 자금수요가 걱정이다. 연말 수요가 늘고 있어서다. 재무비율 관리 등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은 연말이나 반기 말에 부채 비율 관리를 강화하기 때문에 보통 연초·말에 자금 수요가 늘어난다.

한국은행의 '2017년 3분기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국내 예금취급기관들의 산업대출 잔액(1036조6000억원)은 3개월 전보다 20조6000억원 늘었다. 증가액은 2011년 1분기(21조8520억원) 이후 가장 컸다. 한은은 "기업들이 재무비율 관리 등을 위해 일시적으로 상환한 자금 등을 재차입하면서 대출 증가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연말에 자금을 맞춰야하는 이슈가 있지만, 2015년과는 다르다"면서 "가계대출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정부의 규제로 대출은 점진적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대출이 줄어드는 시점에 은행들이 단기나 장기자금 조달에 나설 이유는 크지 않다"고 전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여파(조달 비용 상승 등)도 크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은행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2005년(2005년 10월~2008년 8월, 8회 인상)과 2010년(2010년 7월~2011년 6월, 5회 인상) 경험에서도 충격은 없었다.

은행채 스프레드는 첫 2005년 인상 전후 13.0bp(19.3bp→32.3bp)확대됐다. 2006년 1월 이후 축소됐다. 2006년 4월 11.6bp로 낮은 수준의 스프레드를 회복한 것이다. 2010년에도 비슷한 흐름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금리가 더 오르면 자금 조달 계획을 철회하거나 연기하는 곳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