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보편요금제 그늘에 시드는 알뜰폰

보편요금제 도입 논의가 팽팽한 이견으로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국무총리실 산하 규제개혁위원회는 회의를 열고 보편요금제 도입을 골자로 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심사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보편요금제는 데이터 1기가바이트(GB)·음성 200분을 2만원대에 제공하는 요금제다. 정부가 추진하는 통신비 인하 정책의 핵으로 꼽힌다.

보편요금제가 도입되면 요금인가대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의무적으로 이 요금제를 출시해야 한다. 정부는 그렇게 되면 경쟁사인 KT와 LG유플러스도 요금제를 경쟁적으로 낮춰 실질적인 통신비 인하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이 같은 보편요금제 출시는 이동통신사뿐 아니라 누군가에게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으로 다가오고 있다. 애꿎은 알뜰폰 사업자다. 알뜰폰 사업자가 내세우는 경쟁력은 이름 그대로 '알뜰한' 가격 경쟁력이다.

알뜰폰 사업자는 이미 정부가 요구하는 보편요금제와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를 서비스하고 있다. CJ헬로의 경우 월 2만9700원에 10GB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보편 USIM 10GB' 요금제가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보편요금제는 저가 요금제 가입자를 타깃으로 한다. 알뜰폰 사업자의 타깃 고객층을 정조준한다.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같은 가격이면 서비스와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이동통신사를 택하는 것이 이득이다.

실제로 알뜰폰 가입자의 이탈 효과는 눈에 보이는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알뜰폰에서 이동통신 3사로 번호를 옮긴 가입자가 이동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옮겨간 가입자를 넘어서며 알뜰폰 사업 시작 이래 처음으로 '가입자 이동 역전'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가입자는 지난해 700만명을 돌파한 이후 1년여 시간이 지났지만 800만 가입자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알뜰폰 사업자 입장에서는 보편요금제 출시로 '낙동강 오리알 신세'를 면치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보편요금제 도입 시 알뜰폰 도매대가 특례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보편요금제로 수익에 타격을 입는 이동통신사와의 협상이 수월할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보편요금제 도입 추진 그늘 아래 갈수록 시들해지는 알뜰폰 업계는 어디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할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