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⑱ 통일 염원 담긴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 '경교장'

백범 김구 선생은 1949년 6월 26일 경교장 2층 집무실에서 안두희의 총탄에 맞아 죽음을 맞이했다./ 김현정 기자



"탕, 탕, 탕, 탕"

1949년 6월 26일 낮 12시 40분, 백범 김구 선생의 사저 경교장 2층 집무실에서 네 발의 총성이 울려 퍼졌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이 주한미군방첩대(CIC) 요원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나이 향년 74세였다.

대한민국 헌법은 '1919년 수립된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임시정부가 정한 국호, 국기, 국체, 국가를 이어받았다. 경교장은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이자 환국 이후 첫 국무위원회가 개최된 역사적인 장소다. 하지만 김구 선생 서거 후, 이곳은 외국 대사관과 병원 시설 등으로 사용되면서 제 모습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이후 시민사회에서 경교장을 문화재로 지정·복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됐다. 서울시는 2013년 약 3년여간의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마치고 경교장을 시민에게 개방했다.

지난 27일 경교장 지하 1층 전시실에서 한 시민이 백범 김구 선생의 혈의를 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70년 전에 멈춘 시계…백범 김구 선생의 숨결

지난달 27일 경교장을 찾아 민족 자주통일을 위해 애쓴 백범 김구 선생의 발자취를 따라가 봤다. 서울 종로구 평동 강북삼성병원의 응급실 옆에 위치한 경교장은 아치형 창문 5개가 인상적인 2층짜리 건물이다. 가장 먼저 입구 왼쪽에 있는 계단을 따라 지하 1층으로 내려갔다. 임시 정부 당시 보일러실, 식당, 방이 있었던 자리에는 경교장의 역사, 임시정부가 걸어온 길, 백범 김구와 임시정부 요인을 주제로 한 3개의 전시실이 들어서 있다.

사람들의 발걸음이 가장 오래 머물렀던 전시물은 백범 김구 선생의 혈의였다. 김구 선생이 서거 당시 입고 있었던 하얀색 저고리의 목덜미와 겨드랑이 부분에는 검붉은 핏자국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파주시 금촌동에서 온 김수민(13) 양은 "저 옷은 지금 봐도 마음이 아프고 서럽다"면서 "그 당시 사람들은 김구 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더 슬펐겠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1948년 정부수립 직전 민족진영 비밀조직원들이 김구 선생에게 북한 정세를 보고하기 위해 속옷에 밀서를 작성했다./ 김현정 기자



글자가 빼곡하게 적혀 있는 속옷도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속옷 밀서라 불리는 전시물은 1948년 정부수립 직전 북한 내에 민족진영 비밀조직원들이 김구 선생에게 북한 정세를 보고하고, 남북 통일정부수립을 탄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경교장을 찾은 정혜연(21) 씨는 "속옷 밀서에서 김구 선생과 임시정부 요인들이 독립국을 위해 고군분투한 흔적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나라를 위한 이분들의 노력을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지난 27일 경교장을 찾은 한 가족이 2층 집무실을 관람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소유권 병원에…100% 복원 어려워

경교장 1층에는 국무위원회가 개최된 응접실이 있다. 김구 선생은 이곳에서 국내외 주요 인사들을 접견했다. 응접실에서 복도로 나와 오른쪽으로 가면 귀빈식당이 나온다. 식당 안에는 양 끝에 1명, 가운데 7명씩 총 16명이 앉을 수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기다란 식탁이 놓여 있다. 임시정부의 공식 만찬이 열렸던 식당은 김구 선생 서거 당시 빈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한층 더 위로 올라가면 김구 선생의 집무실과 침실, 서재 등을 볼 수 있다. 일식 다다미방으로 꾸며진 임시정부 요인 숙소는 그 당시 사진자료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원형 그대로 복원했다. 집무실 책상 뒤 창문에는 서거 당시 총탄 자국도 재현돼 있다.

송현성(43) 씨는 "경교장이 있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여기에 있을 줄은 상상도 못 했다"며 "딸애가 아파서 병원에 왔는데, 밖에 경교장이라고 쓰여 있어 들어 오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람들이 김구 선생은 알고 있지만, 경교장은 잘 모르는 것 같다"며 "홍보가 잘 돼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서울 역사박물관 관계자는 "경교장에는 하루에 200명 정도가 방문한다"며 "지하철 광고 등을 검토하고 있지만, 예산이 부족해 홍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고백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 경교장은 소유권이 삼성병원에 있어 완벽한 복원이 어려워 보인다./ 김현정 기자



한편, 아직 복원이 이뤄지지 않은 부분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는 시민도 있었다. 자녀와 함께 경교장을 찾은 김영민(41) 씨는 "남북 정상회담도 있고 해서 아이에게 역사적인 현장을 직접 보여주기 위해 방문했다"면서 "김구 선생이 남북 연석회의 때 북행을 위해 사용한 지하 1층 보일러실 북측 문도 살렸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서울 광진구에서 온 박모(55) 씨는 "외부는 복원이 전혀 안 된 것 같다"고 지적했다. 박 씨는 "건물 뒤쪽은 병원 응급실과 붙어있고, 정원이 있었다던 앞마당은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경교장은 건축 당시 전체 면적이 5267.44㎡에 달하는 넓은 공간이었지만, 현재 규모는 대지 396㎡에 건물 총면적 945㎡ 밖에 되지 않는다. 서울 역사박물관 관계자는 "경교장 소유권이 삼성병원 쪽에 있고, 이미 병원 건물이 상당 부분 들어서 있어 100% 완벽한 복원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