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29) 서울 역사 산책을 시작하는 도시 별자리 출발점, '서울역사박물관'

지난달 19일 서울역사박물관을 방문한 어린이들이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형과 한 몸으로 조형된 아름다운 도시 서울은 조선왕조의 한양부터 식민시기 경성, 대한민국 서울에 이르는 육백 년 수도이다. 서울시는 종로구 새문안로 경희궁 터에 수도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도시역사박물관을 조성해 지난 2002년 개관했다.

박물관은 경희궁 터 2만9786평 중 유물이 발굴되지 않은 부지에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6100평 규모로 지어졌다. 박물관은 기증유물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상설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에서는 볼 수 없는 서울 이야기

지난 9월 서울역사박물관을 찾은 모녀가 도성대지도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지난달 16일 서울역사박물관을 찾았다. 관람 순서를 따라 조선시대부터 해방 이후까지 서울의 역사를 소개한 3층 상설전시실로 올라갔다. 전시실은 조선시대,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 고도성장기 등 시대별로 4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상설전시실 1존은 한양 정도부터 개항 이전까지 조선시대의 서울을 소개하는 공간으로 한양의 육조거리(조선시대 6개 중앙관청이 있던 광화문 앞대로)와 시전 등이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제일의 번화가 운종가를 작은 크기로 만들어 놓은 전시물이 가장 눈에 띄었다. 가운데로 난 큰길을 중심으로 양옆에 시전 상인들이 줄지어 앉아 물건을 팔고 있었다.

용산구 청파동에서 온 김정현(14) 군은 "교과서에도 나와 있지 않은 것들을 볼 수 있어 신기하고 재밌었다"며 "'조선시대 사람들이 명동이나 이태원에 오면 이런 기분일까?'라는 생각을 하며 둘러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물관 한켠에는 가로 188cm, 세로 213cm의 거대한 크기의 도성대지도가 전시되어 있었다. 현존하는 서울 지도 중 가장 큰 지도로 1753~1764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진경산수화 기법으로 만들어진 지도에는 관청, 도로, 하천 등의 정보가 적혀 있었다.

아이와 함께 지도를 살펴보던 이수정(35) 씨는 "처음에는 단순히 그림인 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지도였다"며 "GPS나 카메라도 없던 시절에 어떻게 이런 지도를 만들었는지 정말 대단하다"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강서구에서 온 전은영(27) 씨는 "박물관 전시 내용 중 조선시대가 좀 빈약하게 느껴졌다"면서 "조선의 역사는 500년이 넘는데 대한제국과 마찬가지로 한 구역에만 전시되어 있어 아쉬웠다"며 눈살을 찌푸렸다.

서울역사박물관 관계자는 "시기별로 공간을 할당해야 한다는 건 편의적인 생각"이라며 "상설전시실의 반을 1존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공간적인 면으로 봤을 때 부족하지 않다"고 말했다.

◆시민의 삶이 도시의 역사로···

서울역사박물관 기증유물전시실에는 1960~70년대 파독 간호사들의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김현정 기자



상설전시실 관람을 마치고 기증유물전시실이 있는 1층으로 이동했다. 새하얀 간호사복과 함께 간호사 월급표, 대한간호사협회 회원증 등이 전시되어 있었다. 유물은 1960~70년대 파독 간호사인 김진향, 숙희Stadler, 서영, 서의옥, 안차조, 한정로 등이 기증한 것이었다.

송파구에서 온 박지선(26) 씨는 "당시 한국인 간호사들이 말 한마디 통하지 않는 낯선 땅 독일에서 얼마나 많은 고생을 했을지 짐작조차 가지 않는다"면서 "지금 우리나라에도 피부색이 다른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들어와 있는데, 이들을 좀 더 따뜻하게 대해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미소를 지었다.

짙은 카키색과 베이지색 군복도 눈에 띄었다. 50년대 군용물품을 제공한 기증자의 남편은 6.25 전쟁 중인 1953년 임관해 1967년 대위에 예편했다고 한다.

이날 박물관을 찾은 윤모(35) 씨는 "반세기 전 군복을 통해 참혹했던 전쟁의 참상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었다"며 "우리 윗세대에게 감사함을 느끼게 되었다"고 말했다. 윤 씨는 이어 "전시물 중 일본인이 기증한 유물이 꽤 있던데 서울역사박물관에 왜 이들이 제공한 물건이 있는 거냐"며 의아해했다.

서울역사박물관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시대 이후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된 일본인들이 서울에 대한 자료를 모아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라며 "희귀한 유물이 많아 역사적 가치를 따져봤을 때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게 맞다고 판단돼 전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9일 역사박물관을 찾은 시민들이 '서울1000년 타임캡슐'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종 모양의 타임캡슐 전시물도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서울1000년 타임캡슐'은 1994년 서울의 인간과 도시를 주제로 당시 서울의 생활, 풍습, 인물, 문화예술을 상징하는 문물 600건을 선정해 1000년 후 개봉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됐다.

보신각종 모양을 본뜬 전시물 안에는 한국주택은행에서 발행한 주택복권과 쌍방울 속옷, 1993년 개봉한 판소리 영화 서편제 테이프 등이 담겨 있었다.

타임캡슐을 유심히 살펴보던 황승택(26) 씨는 "서울 시민의 삶이 모여 한 도시의 역사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면서 "얼른 집에 가서 박물관에 전시될 만한 물건이 있는지 찾아봐야겠다"며 활짝 웃었다. 황 씨는 "무공훈장증, 대장계급장 등 간단히 설명되어 있는 기증 유물에도 전시 배경이 자세히 나와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서울역사박물관 관계자는 "기증자분들이 설명해준 내용을 바탕으로 안내푯말을 제작한다"며 "유물이 너무 오래되어 기억하지 못한 분들이 있어 다양한 얘기를 못 담는 제약이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