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광주교육청, 수업혁신사례집 ‘교사, 수업하다’ 발간

수업 '폭망기' 사례집에 전국 교사들 관심

교사 수업하다(중등편)



힘들게 교사가 됐지만 가르치는 일은 쉽지 않다.

열정도 애정도 지식도 있지만 학생들은 맘대로 되지 않는다. 주위에서 책과 강연으로 알게 된 수업성공 사례를 교실에 적용하면 어쩐지 어색하다. 요즘 말로 '갑분싸'되기 일쑤. "자신의 장점을 적어서 내라"고 하면 학생들은 "저는 장점이 없다"며 어색해 한다. 그러고는 학생들 스스로 상처받는다. '학생 자치'와 '리더의 자세'에 대한 수업을 했더니 "역시 리더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닌 것 같다"고 답한다. 이런 날이면 교사들도 그날 밤 잠 다 잤다. 매일 매일 자책한다. 학생들의 유리잔 같은 마음을 깨트렸다는 생각까지 든다고 했다.

2019년 1월 이런 수업 실패 사연들이 공개모집을 통해 모여 책으로 나왔다. 공모 당시 명칭은 '수업폭망기' 공모전. 최종 발간된 책 이름은 혁신수업사례모음-'교사 수업하다' 초등편과 중등편이다.

발간 주인공은 진보교육 대표주자 광주교육청이다. 아무리 진보교육청이라고 해도 수업 실패 사례를 책으로 내기는 쉽지 않았을 것. 광주교대광주부설초 최종희 교사는 공모에 제출한 글에서 "'폭망기'라니! 내 수업이 평가 받는 것이 부끄럽거나 두려워서 교실문도 열지 않는 선생님들에게 망한 수업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들려달라는 것이 아닌가?"라며 당시 소감을 적었다. 최 교사는 이어 "'이 수업 방법이 최고로 효과적이다'는 연수나 강의가 넘쳐나는 마당에 이런 사례를 모집한다는 자체가 재미있고 신선했다"고 참가 이유를 밝혔다.

사실 수업폭망기 공모는 2017년 8월 공모 시작 단계부터 SNS(페**북)에서 화제를 모았다. 당시 광주교육청은 '수업을 바꾸는 100가지 아이디어-수업 폭망기를 모집합니다' 공모를 진행해 '교사의 수업 실패 경험 공유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자'는 제안을 정책화해 시행했다.

해당 공모전 심사위원을 경력 3년 미만 신규교사로 채운 일도 교육 현장에서 보면 혁명 같은 일이었다. 2019년 1월15일 기준 정식 배포를 시작한 지 2주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교사들 사이에 입소문이 나 서울·제주 등 전국 17개 시·도 각지 학교에서 광주교육청으로 도서 요청이 들어와 200부 넘게 관외 발송했다.

'교사 수업하다'엔 수업 실패, 그에 대한 개선, 수업혁신 등 100편의 실제 사례가 담겨 있다. 각 사례는 교사들의 '성찰', '나눔', 학생과 교사의 동반 '성장', 수업 '협력'이라는 4개의 주제로 분류됐다.

장휘국 교육감은 책을 펴내면서 "수업만큼은 그 누구보다 현장의 교사가 전문가다"며 "교사의 전문성은 개인의 것이 아니고 자신이 가진 다양한 콘텐츠를 나눔으로서 전문성의 가치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앞으로도 교사의 자발성과 협력을 기반으로 교사의 성장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 나갈 것이다"면서 "교사들의 수업혁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광주교육청은 '현장의 교사가 전문가입니다'라는 철학으로 교사 서평 나눔집 '교사, 독서하다', 학습공동체 사례집 '교사, 함께하다'를 발간하기도 했다.

짧아도 12년. 초·중·고 학창 시절은 길고도 중요하다. 수업 실패와 극복, 개선, 성장, 혁신과 공유는 열정 있는 교사들의 성장기인 동시에 학생들의 성장기다. 상처는 공개해야 치유된다. 위험 표시가 있는 이 '지도'를 통해 교사와 학생들은 함께, 더욱 멀리, 안전하게 길을 가게 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