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자본확충에 발목잡힌 금융혁신

안상미 기자



'놀랍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평가다. 한국 금융시장 규모나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더 놀랍다고들 한다. 성공사례를 공유해 달라는 요청이 쏟아진다. 금융기관이나 핀테크 업체 뿐 아니라 공유차량 업체 등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 곳들은 한국을 방문해서는 꼭 한 번 만나달라고 한다.

반면 국내에서의 평가는 오히려 인색하다. 성장세는 빠르지만 서비스에서 별 차이가 없다고 평가절하한다. 비슷한 서비스에 몇 백만의 고객이 왜 몰렸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요구는 많다. 신용평가도 리스크를 감수한 새로운 방식으로 하길 바라고, 중금리대출도 늘리라고 한다. 금융혁신을 원하지만 은행다운 안정성에, 대주주는 그 어느 업권보다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이하 인터넷은행)에 대한 얘기다.

앞으로는 외부에서의 호평도 이어질 수 있을 지 장담하기 어렵다. 발목을 잡은 것은 자본이다. 케이뱅크는 당장 자본부족으로 대출상품의 판매가 중단된 지 두 달이 넘었다.

케이뱅크는 전환신주 823만5000주에 대한 412억원 상당의 유상증자 납입일을 당초 20일에서 27일로 미뤘다. 주주사들이 많다보니 크지 않은 규모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았던 셈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우리은행과 NH투자증권 등 케이뱅크의 핵심 주주들을 중심으로 3000억원 규모의 추가 증자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실적으로 실현가능성은 낮다. KT의 케이뱅크에 대한 대주주 적격 심사는 언제 재개될 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케이뱅크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2.48%로 은행권에서 꼴찌 수준이다. 브릿지증자로 400억원 가량의 자금이 들어와도 BIS비율을 감안해 버틸 수 있는 기간은 단 석 달 정도다.

출범 2년을 넘어선 인터넷은행에 대한 이슈는 이제 혁신이 아니다. 자본을 어떻게 확충할 것인가가 전부가 됐다.

/smahn1@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