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라임사태, 판매사 책임은?



"다들 아시다시피 판매사는 단기 상품을 원하고, 우리는 이런 리스크를 생각하지 못하고 유동성 위기를 만들었다. 지금 생각하면 가장 후회스러운 일들이다."

지난 14일 라임자산운용이 마련한 기자간담회에서 운용최고책임자(CIO)인 이종필 부사장이 한 말이다. 1조5000억원 규모의 환매 중단 사태가 어떻게 발생했는 지, 앞으로 상환 계획은 어떻게 되는 지 등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결국 이번 사태의 중대한 책임은 라임운용에 있는 게 맞다. 자산 유동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펀드 규모를 키우고, 조각냈다. 그리고 사모펀드의 만기를 짧게 가져감은 물론 중간 환매도 가능케 했다.

이러한 전략이 라임운용의 운용자산(AUM)을 크게 키웠으나 결국 이런 전략이 유동성 위기에 부닥쳤고, 환매 중단이란 초유의 사태를 불렀다.

이미 많은 언론에서 라임운용의 부실 전환사채(CB)투자,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등을 지적했다. 라임운용은 이러한 의혹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지만 찜찜함이 남은 것은 사실이다.

이 사태에서 다시 돌아봐야 할 점은 판매사의 책임이다. 이 부사장의 말대로 은행 등 금융사들은 인기를 끌고 있는 라임운용 사모펀드를 많이 팔기 위해 만기를 짧게 가져가길 원했을 거다. 그 결과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상품을 팔았고, 판매수수료도 꽤 쏠쏠했을 터.

금융투자업계는 판매사가 갑(甲)이다. 판매사가 팔아주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상품이라도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 라임운용 역시 사모펀드의 환매를 쉽게 만드는 것에 우려가 있었을테지만, 결국 '누이좋고 매부좋은' 방법을 택했다. 투자자의 리스크는 외면한 채 말이다.

증권사의 총수익교환(TRS)에 관한 지적도 나왔다. 이 부사장은 라임운용에게 200% 레버리지를 제공하면서 자산 유동화를 도왔던 판매사들이 사태가 터지자 서둘러 TRS 계약을 깨면서 자금을 회수했다고 했다. 이에 따라 환매 중단 규모는 불어났다.

라임운용 사태는 라임만이 반성해서 끝날 일이 아니다. 고객의 투자 안정성이 아닌, 고객에게 수수료를 받기 위해 상품을 팔았던 금융투자업계 모두가 반성해야 할 일이다. 이를 계기로 금융투자업계가 한 층 성숙해지기를 바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