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탁한 세상은 가라



격탁양청(激濁揚淸)이란 사자성어는 탁류(濁流)를 물리치고 맑은 물인 청파(淸波)를 일게 한다는 뜻이다. 당서(唐書)에 나오는 말이라 하며 선(善)을 선양하고 악(惡)을 물리쳐 세상을 바르게 한다는 뜻이다.

당서는 당나라의 건국시조인 고조(唐高祖) 때부터 당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애제(哀帝) 때까지의 약 290년 동안의 당나라 역사 기록서이다. 현재 중국을 중국답게 만든 정치제도의 기틀은 당나라 때 확립되었다고 보는 것이 역사가들의 정평이다.

당나라의 역사서에 격탁양청이라는 뜻은 그 의미가 자못 새롭게 다가온다. 최근 우리나라의 일련의 사회적 견해들이 극명하게 갈리어 서로 격탁양청을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자기들만 옳다고 언성을 높이는 것은 갈등만 더욱 부추긴다.

성숙한 사회는 계파와 당파 간 이익의 정당성을 확보한다는 그저 목소리 높여 자기주장만 해서는 담보되지 않는다. 임금을 가리켜 미인이라고 지칭한 사명대사 얘기를 잠깐 했지만 더불어 송강 정철이 기억난다.

정철의 사미인곡(思美人曲)에서 뜻하는 미인도 자신을 귀향 보낸 임금인 선조를 가리킨다고 고등학교 국어 시간 때 배운 기억이 생생하다. 관동별곡과 함께 국어 시험에 자주 출제되던 단골 소재가 정철의 가사 아니었던가. 정철은 귀양을 가서도 그리운 임금이라며 가사를 지어 충절의 정을 표현하곤 했다.

격탁양청을 부르짖는 그의 태도가 오만하다며 귀양보낼 것을 간청하는 반대파들의 계속되는 청에 "그가 힘을 다해 직무에 충실했던 점과 충직한 절의는 초목조차 그 이름을 기억한다. 이른바 백관 중의 독수리요, 대궐의 맹호라 할 만하다."라며 반대했으나 결국은 귀양길에 오른다.

곧은 태도라 할지라도 당파와 계파 간의 눈으로 보면 용납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당파적 이해에 따른 사욕은 정치를 흐리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진정 나라를 위하고 국민을 위한 격탁양청을 기대해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