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자수첩] 한국인이 좋아하는 주식

지난달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들인 주식은 서클 인터넷 그룹(CRCL)이다. 지난 6월 5일 상장했지만, 서학개미들의 상반기 순매수 상위 4위 종목에 등극했다. 서클은 주식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유일한 순수 스테이블 코인 기업으로 주목 받으면서 12거래일 만에 공모가 263.45% 뛰었고, 이후 5거래일 만에 31.51% 하락했다. 다만 타이밍은 다소 아쉬웠다. 서학개미들은 서클이 조정받기 시작하자 더 열심히 사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레버리지·인버스 투자에 대한 선호가 높은 서학개미들에게 서클은 '한 방'을 노릴 수 있는 흥미로운 투자처인 것이다. 유럽의 워런 버핏으로 불리는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주식 시장의 90%는 심리학이 지배한다"고 말한 바 있다. 유난히 '군중심리의 역설'이 잘 먹히는 요즈음 개인 투자자들에게 특히 들어맞는 말이다. 개미(개인 투자자)들은 비단 서클뿐만 아니라 한 번 불이 붙으면 고점에서도 쉽게 진입했고, 저점에서도 쉽게 손절하지 못하는 악순환을 보였다. 눈앞의 급등 차트를 두고 '나만 못 먹는 이익'을 놓칠 수 없는 것이다. 막연한 추세에 대한 믿음, 언제든 다시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복되고 있다. 서학개미들의 불나방 흐름에 가장 많이 기여한 것은 '테슬라'라고 생각된다. 테슬라는 주가 등락을 반복하면서, 서학개미들에게 '존버'(끝까지 버틴다는 뜻의 은어)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심어 줬다. 서학개미들의 '테슬라 사랑'은 어쩌면 당연하다. 서학개미들은 테슬라를 2023년에는 첫번째로, 2024년에는 두번째로, 그리고 올해 상반기에 다시 첫번째로 많이 사들였다. 특히 올해는 두 번째로 많이 사들인 종목도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X 셰어즈'다. 지난해 7월, 한국인들이 테슬라 주식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X(전 트위터) 계정에서 한국인을 '똑똑한 사람들'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그 당시 테슬라의 주가는 저점에서 다시 고점을 향해 가고 있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서학개미들이 테슬라에 대한 순매수 성향을 일관적으로 유지했다는 것을 고려할 때, 테슬라의 주가 등락과 관계 없이 매수 태도를 지속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시장엔 결코 공짜 점심이 없다. 손해 본 누군가의 피눈물이 타인의 수익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제는 급등주가 아닌 실적주를 직접 찾아나설 때다. '한 방'을 기대할수록 계좌는 빈틈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한다. 과거에도 그랬고, 미래도 다르지 않다.

2025-07-03 14:40:03 신하은 기자
[기자수첩] 진짜 맛은 얼마인가?

한국 식품산업이 '가성비'의 그늘에 갇혀 휘청이고 있다. 좋은 원료를 쓰면 가격이 오르고, 가격을 낮추면 품질이 떨어지는 구조 속에서 산업은 생기를 잃고 있다. 소비자는 가격표부터 보고 유통업체는 공급가를 깎는다. 결국 중소 제조사는 수입산 원료에 최소한의 가공만 거친 제품으로 '최저가 경쟁'에 내몰린다. 대기업조차 프리미엄 제품을 한정판처럼 눈치 보며 내놓을 뿐이다. 싸고 무난한 제품은 넘쳐나지만, 비싸도 좋은 식품은 설 자리를 잃는다. 일부 식품 회사들은 가성비라는 명목을 앞세워 국산 원료보다 수입산을, 깊은 풍미보다 익숙한 자극적인 맛을 택하면서 원가를 극단적으로 낮추고 유통을 단순화해 간편식을 내놓는다. 마트 진열대가 순식간에 비는 것은 비일비재하다. 소비자 입장에서 가격 부담은 적겠지만, 산업 전반이 '싼맛'에만 몰두할 때 잃어가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종합식품기업 하림은 항생제 없이 키운 동물복지 닭, 국산 곡물 사료, 생산 이력 추적 시스템 등 품질을 앞세운다. 간편식을 만들더라도 신선한 식재료로 제대로 만들어 '진짜 맛'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타사 제품 대비 가격은 비싸지만, 신뢰를 파는 방식이다. 이런 시도는 느리지만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중요한 걸음이다. 미국·유럽·일본의 식품산업은 '저렴함'보다 '신뢰할 수 있는 품질'과 '지속 가능한 생산'을 경쟁력으로 삼는다. 한국도 '저렴한 맛'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품질'과 '글로벌 시장 속 국내 식품 산업의 경쟁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정부는 수입산 원료 의존을 줄이고 국산 유통망과 R&D에 투자해야 한다. 유통업계는 적정 마진을 보장해 상생 구조를 만들고, 소비자도 가격보다 가치를 보는 시선으로 바뀌어야 한다. 싸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식품은 하루 세 번, 생존이 아닌 삶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다. 한국 식품산업이 진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얼마냐'보다 '어떻게 만들었냐', 즉 가치를 먼저 따져물어야 할 것이다.

2025-07-02 15:16:49 신원선 기자
메트로칼럼
지난칼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