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한 2017년이 저물어가고 있다. 올해 유통업계는 장기화된 내수 침체와 각종 규제 강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 등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1인 가구의 증가로 새로운 소비 성향이 탄생하기도 했다. 또 4차 산업 혁명과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새로운 변화 바람도 불었다. 유통업계에서 일어난 이슈를 짚어본다.
[유통가 2017년 되돌아보기]①AI 여파로 계란값 급등
붉은닭띠의 해 2017년 '정유년'은 닭의 수난으로 시작됐다. 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여파로 국내 산란계(알을 낳는 닭) 35% 이상이 살처분되며 계란 수급이 어려워졌고 이에 계란값이 급등, 심지어 판매를 중단하기까지 했다. 양계농가의 눈물 마른 날 없었던 2017년의 AI 파동을 되돌아봤다.
◆AI 확산
지난해 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대한민국이 비상에 걸렸다. 지난해 11월에 첫 발생한 AI는 올해 4월까지 이어졌다. 감사원에 따르면 전국 418개 농장에서 가금류 총 3807만마리가 살처분됐고 3688억원의 재정이 투입됐다.
가금류 중에서도 산란계 살처분이 대규모로 단행되자 유통업계에서는 계란수급에 차질이 생겼다. 지난해 12월 대형마트 3사(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는 30구 대란 한판기준으로 계란값을 6000원대로 올렸다. 이후에도 계란값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한판 만원'까지 값이 상승했다.
당시 AI에 전혀 상관이 없는 육계(식용닭)는 '안팔리는 식품'으로 전락했었다. 산란계 살처분에 닭고기를 기피하는 현상이 생긴 것이다. 계란값은 지속 급등하는 가운데 닭고기는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가격도 급락세를 보였다.
닭고기를 파는 업체측은 70도 이상으로 익혀 먹으면 닭고기 안전에 문제가 없다며 닭고기 소비 촉진을 유도했다.
◆업계 혼란
2017년 들어 상황은 더 심각해졌다.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계란값이 상승하는데 이어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가공란도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AI 확산으로 계란 공급 자체가 어려지자 가공란까지 가격이 오른 것이다.
이같이 '계란 대란'이 장기화되자 정부는 미국산 계란을 수입해왔다. 국내 최초의 미국란 상륙이다.
국내 검역을 거쳐 전국 롯데마트 유통망을 통해 판매된 미국산 계란은 당시 특란 크기의 30개 기준으로 마진없이 8990원에 판매됐다.
미국란에 이어 호주, 스페인에서도 해외 계란이 들어왔다. 수요대비 공급량을 늘리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계란값도 떨어졌다. 한판에 만원을 넘나들던 계란값이 8000원대까지 진입한 것이다.
하지만 계란값 안정화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미국과 스페인 등에서도 AI가 발생하며 산란계와 종계 수입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다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이 가중됐다.
계란값이 들썩이면서 제빵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계란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식품인 만큼 계란값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유통기한이 지난 계란으로 제빵을 만들어서 판매한 업체도 여럿 적발됐다.
◆살충제 계란
이어 지난 8월 유럽 전역에 '살충제 계란' 사건이 터졌다. 살충제 성분이자 발암물질인 '피프로닐'이 계란 농가에서 검출된 것이다. 이로 인해 국내 유통업계에서 판매되고 있는 벨기에 와플 등이 판매 중지됐다. 국내 소비자들은 계란 껍질에 인쇄된 난각표시를 확인하고 계란을 구입하고 섭취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일부 소비자들은 가격이 2~3배 더 비싼 동물 복지 계란을 찾아서 구입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