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m커버스토리] 기업 '간판' 바꾸는 회사들 배경은?

럭키금성트윈타워 준공식/메트로 DB

LG, 아모레, 애플….

 

소비자들은 회사명을 듣고 해당 회사에 대한 신뢰감, 편안함 등의 감정을 느끼고, 그 브랜드에 가치와 이미지를 떠올린다.

 

몇자 되지 않는 회사명에는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담긴다. 보통 기업의 미션(기업의 존재 이유)과 비전(꿈꾸는 청사진)을 담아 짓는다. 회사명이 곧 브랜딩의 첫 걸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이유다. 때문에 수많은 CEO가 고객들에게 어떤 이미지로 다가갈 것인가를 충분히 고려해 사명을 짓기 마련이다.

 

최근 유통가에는 급변하는 환경에 맞춰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미 몇몇 회사는 사명을 변경해 기존 이미지를 탈피, 더 나은 기업으로의 도약을 예고했다. <관련기사 4면>

 

회사명을 바꾸고 승승장구한 대표적인 케이스는 숙박, 레저 액티비티 플랫폼 기업 '야놀자'다. 2005년 창업 당시만해도 회사명은 '모텔투어'였다. 이후 숙박업소 추천뿐 아니라 여가 콘텐츠 제시하는 사업 모델로 확장하면서 회사명을 '야놀자'로 변경, 이후 기업가치 1조원을 돌파하며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친근한 사명으로 탈바꿈함과 동시에 사업까지 확장해 이미지 변신에 대성공했다는 평가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LG와 아모레도 있다. LG그룹의 최초 사명은 '락희'였다.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 설립 당시 행운을 의미하는 영어 '럭키(lucky)'와 한자어 '락희(樂喜)'에서 따온 것. 이후에는 '럭키'와 혼재해 사용하다가 1984년 금성전자의 '금성'과 합쳐 럭키금성그룹으로 이름을 바꿨다.

 

다시 사명을 바꾼 것은 1995년 고(故) 구본무 회장이 취임하면서부터다. 당시 구 회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해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명이 필요하다며 LG로 사명변경을 강하게 밀어붙였다고 알려졌다. 항간에는 LG가 럭키금성(Lucky Goldstar)'의 약자 L과 G를 따온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주식회사 태평양/아모레퍼시픽
태평양/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업계의 선두주자 아모레퍼시픽 역시 '태평양'에서 출발했으며 해외 진출을 위해 사명을 변경한 케이스다.

 

아모레(Amore)는 1964년 탄생한 태평양의 방문판매 전용 브랜드였다. 당시 격변의 시대에 전통적인 유통 구조를 탈피한 제3의 유통 경로로 방문판매가 각광받았고, 서비스와 고품질의 제품은 고객을 사로잡았다.

 

아모레는 곧 다양한 브랜드를 거느리는 방문판매 전용 모브랜드로 성장했고, 급기야 회사의 대표 이미지로 자리잡게 됐다. 이후 회사명을 태평양에서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으로 변경했다.

 

회사명을 바꾼 해외 사례도 있다. 스티브 잡스는 2007년 아이폰을 공개하면서 회사명을 '애플컴퓨터'에서 '애플'로 바꿨다. 일론 머스크도 전기차 사업에 이어 에너지 사업까지 확장하면서 '테슬라모터스'에서 '테슬라'로 사명을 바꿨다. 새로운 사업을 추가하면서 한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탈피하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명은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는 가치와 철학이 담겨 있어야 한다"며 "시장을 장악하는 경쟁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단순히 이름만 변경한다고 기업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