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文, 베트남 당서기장과 통화…코로나·경제 협력 등 협의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응웬 푸 쫑(Nguyen Phu Trong) 베트남 당 서기장과 전화 통화를 했다. 이번 통화는 베트남 새 지도부 출범 이후 양국 정상급 차원에서 처음 이뤄진 것으로 양자관계 강화 방안,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에 관해 협의했다.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응웬 푸 쫑(Nguyen Phu Trong) 베트남 당서기장과 전화 통화를 갖고, 양자관계 강화 방안,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에 관해 협의했다. 이번 통화는 베트남 새 지도부 출범 이후 양국 정상급 차원에서 처음 이뤄진 것이다.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먼저 쫑 당서기장의 연임을 축하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감사의 뜻과 함께 "한국이 UNCTAD 선진국으로 격상된 것을 축하한다"고 화답했다.

 

양국 정상은 통화에서 1992년 한-베트남 수교 이후 정치·경제·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심화된 점을 평가했다. 이어 내년 수교 30주년인 만큼 양국 관계가 현재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펜데믹 상황 가운데 현지에 거주하는 한국인 및 진출 기업의 안전과 보호 차원에서 베트남 측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며 삼성전자 가전공장이 봉쇄 조치를 했고, LG그룹 제조 계열사(LG전자·디스플레이·이노텍)의 경우 백신 수급에 차질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문 대통령과 쫑 당서기장은 양국 간 코로나19 대응 차원의 긴밀한 협력이 이뤄져 온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뒤 앞으로 질병예방 관리 관련 공조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지난해 양국 교역액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는 점을 상기한 뒤 "2023년까지 교역액 1000억불 목표 달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교역액 1000억불 달성을 위해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글로벌 공급망 차원에서 한국 정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또 "베트남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로, 한국은 베트남의 1위 투자국이고, 베트남은 한국의 4대 교역대상국이며, 베트남에 9000여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고, 각각 20만여명의 양국 국민이 거주하고 있을 만큼 양국은 특별한 관계"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한국은 아세안 협력의 중심 국가로서, 베트남은 한국의 신남방정책을 지지하며, 베트남의 발전 계획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을 결합시킨다면 양국관계가 더욱 심화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어 "한국과 베트남 정당 간의 협력, 국회 간 협력, 차세대 지도자 간의 협력을 증진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쫑 당서기장 제안에 "적극 환영한다"고 화답했다.

 

이 밖에 문 대통령은 지난 2018년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를 베트남 측이 제공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국 정부 노력을 지지해준 데 대한 감사 인사도 전했다. 이어 "북한과의 조속한 대화 재개를 위해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베트남이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베트남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적인 협의 대화를 지지한다"고 화답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위해 양국이 긴밀히 소통하기를 기대한다"고도 말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미얀마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아세안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미얀마의 평화 안정 회복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해 나가자"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이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채택한 점에 대해 환영한 뒤 "한국에서도 베트남 문화에 대한 관심이 확산될 수 있도록 교육·문화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양국의 문화가 서로 널리 퍼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