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재를 살고 있지 않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느낌을 과거에 의존하고, 성취감을 미래에 의존한다. 이 순간을 극복해야 할 장애물처럼 여기면서 상황은 더 악화한다. 지금 이 순간인 삶은 하나의 ‘문제’로 변하게 된 것이다. 이때 성급함, 좌절, 스트레스가 일어난다.
지금 이 순간을 놓친다면 우리는 우리에 주어진 유일한 실제의 시간을 놓치는 것이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말을 빌어 말하자면 인생을 사랑한다면 지금 이 순간을 놓치지 말라. 왜냐하면 인생이란 지금 이 순간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를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행복을 미래의 일로 미루는 것을 멈추어야 한다. 돈, 집, 배우자, 지위 등 이러저러한 조건을 갖추면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착각이다. 그런 미래는 오기도 힘들지만, 오는 즉시 만족은 순간이고 그보다 더 크고 많은 것을 원하면서 불행해질 뿐이다.
소중한 것을 지금 이 순간 우선순위를 부여해 먼저 하면, 삶의 상황도 개선되고, 더 중요한 것은 즉각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돈을 버는 이유, 열심히 일하는 이유가 가족의 행복을 위한 헌신이라는 가치에 있다면, 나중에 돈을 번 이후가 아니라 오늘 가족들과 시간을 가져야 한다. 만약 매일 그 시간을 미룬다면 돈은 벌었는데 가족은 없는 수단만 있고 목적은 없는 비극을 맞을 수도 있다.
둘째, 무엇이 내 인생에서 우선순위가 높고 소중한 것인지 분명하게 알고 살아야 한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가치관의 정립이 중요하다고 들어왔다. 그런데 막상 당신의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부분의 사람은 입을 떼지 못한다. 가치는 돈이나 지위, 자격증이 아니다. 돈이나 지위, 자격증은 수단일 뿐이다. 가치는 그런 수단이 있으면 좀 더 수월하겠지만, 없어도 오늘 여기서 행할 수 있는 그 무엇이다.
나의 가치 중 하나는 사랑이다. 물론 돈이 많다면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많은 것을 베풀 수 있겠지만, 없다고 못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가치나 사명서를 적을 때 ‘∼하겠다’는 식으로 미래형으로 적는 것보다 ‘∼한다’고 현재형으로 적어야 하는 이유다.
마지막으로 지금 이 순간 늘 감사함을 갖고 살아가는 것이다. 삶과 삶의 상황을 구분할 수 있다면, 그래서 척박한 삶의 상황의 순간에도 삶 자체는 이미 완전하며, 그 척박한 상황을 바꿔가는 과정조차도 자신을 성장, 성숙시키는 귀한 순간이 될 수 있음을 깨닫고 감사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을 온전히 누리며 살아 갈 수 있다. /이경재(리더십센터 전문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