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중인 쌍용건설의 상장폐지가 사실상 확정됐다. 채권단이 출자전환 및 신규 자금지원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어서다. 결국 쌍용건설은 워크아웃 개시 반년 만에 자금난으로 법정관리 코앞까지 내몰리게 됐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산업·신한·국민은행 등 쌍용건설 채권단은 오는 27일까지 각자 여신협의회 등을 열고, 쌍용건설에 대한 출자전환과 신규지원 문제를 논의키로 했다. 앞서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채권단에 출자전환 5000억원(1안)과 3800억원(2안)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자본잠식을 막고 상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 요건인 5000억원 출자지원 방안은 사실상 폐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이 설령 2안을 채택하더라도 쌍용건설은 자본잠식 일부를 해소하고 최소한의 영업을 할 수 있는 자본만 유지될 뿐 상장폐지는 피하지 못한다.
그나마 이마저도 일부 채권단이 더 이상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 합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우리은행이 '지원 마지노선'으로 27일을 제시했지만 이때까지 의견을 주겠다는 곳은 없는 상태다.
채권단은 출자전환을 포기하는 대신 300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 가운데 1200억원이 군인공제회(군공) 채권상환에 사용되고, 1800억원만 실제 쌍용건설의 운용자금으로 지원된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현재 군공 대해서도 워크아웃 기간 중 채권 회수를 하지 않는 고통분담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군공은 회수할 채권 원금 중 450억원의 상환 기한을 내년 2월에서 연말로 연장하고 이자를 깎아주는 선에서의 타협을 원하고 있어 시각차를 좁히지 못하는 상태다.
한편, 이번 쌍용건설 정상화 방안이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당장 31일 만기 도래하는 600억원 규모의 B2B전자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부도를 맞게 된다. 이 경우 부도 직전 법정관리를 신청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