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이 지난 12월 30일 전격적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업계에 미칠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1400여 개에 달하는 협력업체를 비롯해 쌍용건설 법정관리행의 결정적 원인을 제공한 채권단과 군인공제회도 피해가 예상된다.
하지만 두 번의 워크아웃에 이어 법정관리까지 몰린 쌍용건설이 내부적인 혼란이 가장 클 전망이다. 당장 쌍용건설에 대한 법원의 법정관리 인가 여부가 내주 초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김석준 회장의 거취를 두고 내홍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김 회장은 쌍용그룹 창업주 고(故) 김성곤 회장의 차남이다. 두 차례의 워크아웃을 거치는 과정에서 4년간 회사를 떠나 있기도 했지만 지난 83년부터 30년 가까이 쌍용건설을 이끈 인물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더라도 김석준 회장이 남아 경영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애초 채권단은 해외수주 부진, 경영 실패 등의 책임을 물어 김 회장의 해임을 추진했다. 하지만 법정관리를 신청한 기존 경영주의 경영권을 유지하도록 하는 DIP제도에 따라 김 회장의 유임이 점쳐진다.
쌍용건설 내부적으로도 김 회장이 법정관리인으로 선임돼 기업회생을 진두지휘하기를 바라는 여론이 높다.
회사 관계자는 "김석준 회장의 해외 인맥을 적극 활용해 발주처를 최대한 설득, 최대한 빨리 법정관리를 졸업하는 게 목표"이라며 "김 회장 외 인물이 관리인이 된다면 이 같은 계획을 지키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회장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외부 세력인 채권단과 군인공제회를 제외하면 경영진의 책임이 가장 크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쌍용건설 관계자는 "협력업체에 줘야 될 돈을 비롯해 직원 월급조차 두 달이나 밀려 있는 실정"이라며 "쌍용건설이 새롭게 시작하기 전 경영을 잘못한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 게 순서 아니겠냐"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 경영이 어려워질 경우 결국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경영진은 직원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반면, 직원들은 경영진의 사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잡음이 생기기 마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