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를 신청한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에 대한 퇴진 압박이 커지고 있다. 유임을 희망하는 이사회에 노조가 반대 입장을 피력하고 나선 것. 노조에서는 김 회장의 법정관리인 선임을 저지하기 위한 총력 대응을 예고한 상황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 각 부서별 대표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르면 다음주 월요일(6일) 김석준 회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서울중앙지법 파산부에 제출한다.
애초 쌍용건설 이사회는 지난 30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김 회장을 법정관리인으로 신청하지 않았다. 다만, 김 회장이 누구보다 경영상황을 잘 알고 있는데다, 해외 네트워크가 뛰어나다는 점을 감안해 무난히 법정관리인으로 선임될 것으로 보고 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최대한 빨리 법정관리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김 회장의 해외 인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발주처를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에 대해 비대위 측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해외에서의 입찰이 금지되는 것은 물론, 진행 중인 공사마저 타절될 수 있다"며 "규정이 그렇기 때문에 개인 네트워크로 해결 가능한 문제가 아니다"고 꼬집었다.
비대위는 또 "두 번의 워크아웃에 이어 법정관리까지 이끈 현 대표를 다시 법정관리인으로 선임하는 것은 정부의 직무유기"라며 "법정관리 다음은 파산일 수밖에 없으므로 법원에서는 반드시 쌍용건설 노조와 함께 심문절차를 거쳐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앞서 지난 12월 31일 사측에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책임을 지고 김 회장을 포함해 전 임원이 물러나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김성한 쌍용건설 노조위원장은 "김 회장이 경영실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하는 게 순서"라며 "법원에 탄원서 제출을 시작으로 김 회장의 법정관리인 선임을 막기 위한 쌍용건설 본사, 법원 앞 등에서 시위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