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수도권에서 매매가가 상승한 가구의 85%가 중소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총 347만7162가구 가운데 29만7211가구가 1년 전 보다 매매가가 상승했다. 이 중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25만2699가구로 85%를 차지했다.
서울에서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 오름세가 가장 두드러졌던 지역은 서울 송파구로 3만231가구가 1년 전보다 가격이 뛰었다. 이어 강남구 1만8826가구, 서초구 9776가구 순으로 집계돼 강남3구의 중소형 단지가 강세를 보였다.
개별 단지별로는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1·2차, 잠실동 주공5단지, 신천동 미성, 장미1·2차 등에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또 강남구는 개포동 일대 주공아파트, 서초구는 반포동 주공1단지 등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매매가가 올랐다.
경기도에서는 수원시 내 중소형 아파트 1만5590가구의 매매가가 상향조정됐다. ▲용인시 1만1950가구 ▲평택시 1만396가구 ▲고양시 8895가구 ▲안성시 8795가구 ▲안양시 8668가구 ▲성남시 7120가구 ▲광명시 6636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 대부분 서울 진출입이 편리하면서 아파트 단지가 집중돼 비교적 주거여건이 좋다는 공통점을 갖췄다. 또 삼성전자가 위치한 수원시와 KCC 안성공장이 건설되는 안성시, 고덕산업단지가 위치한 평택시 등 산업단지 내 근로자 수요가 탄탄한 지역들이 해당됐다.
인천은 서구와 부평구에서 각각 7672가구와 6277가구의 중소형 아파트값이 올랐다. 서울 진출입이 비교적 수월한 지역으로 전세난이 지속되자 일부 세입자들이 중소형 아파트 매매로 선회하면서 매매가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가구구조 변화, 경제적 부담 등의 영향으로 중소형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전세난으로 매매로 선회하는 세입자들도 중소형으로 접근하고 있어 앞으로도 가격 상승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