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건설 수주액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다. 공공부문 수주액은 증가했지만 민간부문의 감소폭이 컸다.
7일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국내건설수주 동향조사'에 따르면 2013년 11월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은 8조346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1.2% 줄어든 금액이다.
이 중 공공부문 수주액은 3조3258억원을 차지해 전년 2조7792억원보다 19.7% 증가했다.
공종별로 토목이 항만(인천항 국제여객부두 건설공사), 철도(부산∼울산 복선전철), 상하수도(낙동강강변여과수사업 취수시설), 농림수산(경기도 화옹지구 대단위 농업개발사업) 등의 호조로 14.6% 늘었다.
또 건축은 신규주택(주한미군기지이전 간부숙소, 하남미사아파트)과 공장·창고(미생물가치평가센터 건설공사, 부산지방조달청 비축창고 신축공사) 같은 작업용 건물로 인해 26.2% 증가했다.
이에 반해 민간부문 수주액은 5조211억원으로 전년 동기 5조6677억원보다 11.4% 줄었다.
토목이 상하수도(양양군 하수시설 민자투자사업)와, 발전(전남 100m/w 육상풍력발전)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이를 제외한 다른 공종의 극심한 부진을 보였다.
한편,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계 실적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2%(13조7417억원) 감소한 76조9545억원으로 파악됐다.
공공부문은 1.7%(27.7조→28.2조원) 증가했지만 민간부문이 22.6%(63.0조→48.8조원) 감소했다.
공공 발주기관 중에서도 정부기관(17.6%↓)과 국영기업체(35.6%↓)에서의 수주 감소는 두드러졌다.
민간에서는 주거용이 전년보다 17.6% 줄어든 21조9495억원을 기록했고, 상업용 건물(1.4%↓)과 공업용 건물(20.5%↓)에서도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민간투자사업(BTL)의 부진으로 민간토목은 15조6103억원에서 8조4415억원으로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했다.
협회 관계자는 "연말 수주 회복세를 기댔으나 민간경기 부진에 발목이 잡혀 하락세를 나타냈다"며 "12월까지 포함한 지난해 실적은 90조원을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2002년(83.1조원)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