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내 국공립 유치원·어린이집을 활용한 건설사들의 마케팅이 활발하다. 어린이집의 부실운영 및 안전문제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으면서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의 마음을 자극하겠다는 계산이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등을 유치하는 건설사가 늘고 있다. 비교적 안전하고 비용 부담이 적은 국공립 유치원·어린이집 등으로 자녀를 보내고자 하는 부모는 많은데 반해 이들 시설의 입학 기준은 까다롭다는 데서 착안한 선택이다.
현재 지자체마다 비율이 다르기는 하지만 부지를 무상으로 임대 또는 기부체납해준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우선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미취학 아동을 자녀로 둔 수요자라면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등이 있는 아파트를 선택한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실제, 경기도 고양시 성사동에 있는 '래미안 휴레스트'의 경우 당초 키즈카페로 사용하려던 1층짜리 건물을 동일 순위내 정원의 50%를 입주민에게 우선 배정하는 방식으로 공립 어린이집을 유치했다. 그 결과 해당 어린이집에 통원을 원하는 부모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맞은편 아파트보다 2000만~3000만원 가격도 더 높게 형성된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해 서울 마포구 현석동에 공급된 '래미안 웰스트림'도 시공사인 삼성물산이 단지와 인접한 골프연습장 부지를 140억원에 매입, 연면적 1580㎡ 규모에 1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신석어린이집'을 마포구에 기부체납키로 했다.
삼성물산은 또 서울 신길동 신길뉴타운 11구역에 분양 중인 '래미안 영등포 프레비뉴' 안에도 구립 어린이집과 구립 도서관을 설치할 예정이다.
SK건설도 경기도 화성시 반월동에 분양 중인 '신동탄 SK VIEW Park'에 최대 12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립 어린이집을 유치해 눈길을 끌었다.
대우건설과 동부건설은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서 공급한 '김포풍무 푸르지오 센트레빌' 내 국내 최대 규모의 어린이집과 130명까지 수요 가능한 어린이집을 지을 계획이다. 국공립은 아니지만 최초 아동복지학부로 유명한 숙명여대에서 직접 운영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속을 추구하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손쉽게 통원 시킬 수 있고 치열한 입학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아파트를 선호하고 있다"며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등이 있는 경우 거래가 활발하고 가격 하락 우려도 적어 실거주를 원하는 학부모라면 관심 가져볼 만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