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1월 주택시장 가격전망지수 3년 만에 최고

새해 들어 주택시장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세 부담이 줄어든 다주택자들의 매수세가 전달보다 강해졌다.

17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전국 부동산 중개업소 416곳을 대상으로 1월 주택시장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월 대비 13.5포인트 상승한 88.1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매수세지수가 55로 지난 12월(40.6)보다 14.4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 ▲서울 48(11.2포인트↑) ▲경기 55.5(21.8포인트↑) ▲지방 71.6(8.6포인트↑)로 파악됐다.

생애최초주택구입자 취득세 감면, 신규주택 양도세 감면 혜택 등이 종료됐지만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등 국회 계류 중이던 법안들이 속속 통과되면서 1월 들어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있다.

강남구 J공인 관계자는 "매도호가, 매수호가간 차이로 인해 거래가 눈에 띄게 늘지는 않았지만 매수문의는 증가 추세"라며 "저렴한 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다 점차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월 거래량지수는 66.6을 기록해 전월(50.3)에 견줘 16.3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오름세를 보인 ▲서울 70.4(22.6포인트↑) ▲경기 65.2(18.7포인트↑)와는 달리 지방은 3.5포인트 하락한 62.2를 나타냈다.

수도권의 경우 겨울방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전세 수요가 급증,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 만에 거래량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셋값이 상승하면서 일부 세입자들은 소형 주택형을 매수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매물량지수는 역시 전월(99)에 비해 9.2포인트 오른 108.2를 보였다. 서울은 2.2포인트 하락한 103.9를 기록했으나 경기도와 지방은 각각 18.3포인트, 9.7포인트 상승한 110.4, 104.1로 집계됐다.

전세는 매물이 귀한 만큼 소진속도가 빠르고 매매는 저가매물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꾸준하게 소진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격전망지수는 122.6을 기록해 전월(108.3)보다 14.3포인트 상향조정됐다. 2011년 3월(128.4) 이후 34개월 만에 최고치다. ▲서울 120.4(16.9포인트↑) ▲경기 125.6(11.7포인트↑) ▲지방 116.2(10.6포인트↑) 등이다.

12월 중순까지도 불투명했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가 월말 확정되는 등 국회 계류 중이던 부동산 관련 규제 법안들이 속속 통과되면서 가격상승 기대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용적률 완화 등 재건축 규제 완화로 재건축 단지들 위주로 가격이 오르고 있다.

강동구 둔촌동 H공인 관계자는 "용적률 확대 내용이 포함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호가가 오르고 있다. 변경 될 용적률에 사업이 추진되면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