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설 연휴기간 중 귀성은 설 하루 전인 30일 오전에, 귀경은 설 당일인 31일 오후에 고속도로 혼잡이 가장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귀성 최대 소요시간은 서울→부산 8시간, 서울→광주 6시간 50분, 귀경 최대 소요시간은 부산→서울 7시간 20분, 광주→서울 5시간 30분 등 부산·광주는 지난해보다 각각 20~30분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국토교통부는 21일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인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닷새간 2천769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내다봤다. 1일 평균 이동 인원은 554만 명으로, 설 당일에는 최대 66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전국 9000가구를 상대로 실시한 교통수요조사에 따르면 귀성 교통량은 30일 절반 이상인 57.3%가 집중되고, 귀경 때는 설 당일인 31일(39.5%)과 다음날인 2월 1일(41.4%) 교통량이 몰렸다.
시간대별로 보면 귀성 시에는 30일 오전에 출발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40.6%로 가장 많고, 귀경 시에는 31일 오후 출발이 32.9%, 2월 1일 오후 출발이 27.4%로 파악됐다. 설 당일부터 토요일까지 귀경교통량이 다소 집중되고, 이후 일요일까지 분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승용차로 고속도로를 이용해 귀성할 경우 최대소요 시간은 ▲서울~대전 5시간 ▲서울~부산 8시간 ▲서울~광주 6시간 50분 ▲서서울~목포 8시간 10분 ▲서울~강릉 5시간 ▲서울~대구 7시간 10분 ▲서울~울산 8시간 10분이다.
귀경은 ▲대전~서울 3시간 40분 ▲부산~서울 7시간 20분 ▲광주~서울 5시간 30분 ▲목포~서서울 6시간 50분 ▲강릉~서울 4시간 ▲대구~서울 6시간 30분 ▲울산~서울 7시간 3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부산은 귀성길과 귀경길이 지난해보다 각각 30∼35분 더 걸리고 서울∼광주는 20∼30분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서울∼목포 구간은 제2서해안선 개통의 영향으로 교통량이 집중돼 최대 소요시간이 50분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나왔다.
고속버스로 이동하면 귀성 때 ▲서울∼대전 3시간 20분 ▲서울∼부산 6시간 50분 ▲서울∼광주 5시간 20분 걸리고 귀경 때는 ▲대전∼서울 2시간 30분 ▲부산∼서울 6시간 10분 ▲광주∼서울 4시간 40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용 교통수단은 승용차가 83.3%로 가장 많고, 버스 12.0%, 철도 3.9%, 항공기 0.5%, 여객선 0.3%로 조사됐다.
고속도로별로는 경부선이 30.1%, 서해안선이 13.3%, 중부선 9.6%, 남해선 8.2%, 영동선 7.9%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설 특별교통 대책기간 중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1일 평균 열차 353량, 고속버스 1,773회, 항공기 24편, 여객선 143회를 증회하는 등 대중교통 수송력을 증강한다.
또 고속도로 전광판에서 정체구간 소요시간과 우회도로 소요시간을 동시에 알려 혼잡을 줄이고, 경부선 서울∼천안 구간 나들목과 휴게소 부근 등에 임시 갓길 차로를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단∼신탄진나들목 구간(141㎞) 상하행선에서 버스전용차선제를 평시보다 4시간 늦은 오전 1시까지 연장하며, 서울시내 버스와 수도권 전철은 31일∼다음달 1일 오전 2시까지 연장 운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동시간과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도록 귀성·귀경길 출발 전에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인터넷 포털사이트, 교통방송,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제공되는 혼잡 예상일과 시간대, 도로 등 교통정보를 미리 확인한 후 출발시점과 경로를 결정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