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와 경기도 고양시에서 행복주택이 추가로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광주광역시가 제안한 4개 행복주택 사업지구 중 수요가 충분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2곳과 경기도 고양시 삼송택지지구에 각각 행복주택 약 1200가구와 1360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우선 광주에서는 광주KTX역 철도부지 중 미활용되고 있는 유휴부지를 활용, 행복주택 약 700가구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곳은 광주역과 연접하고 지하철 2호선 광주역이 건설될 예정으로 교통 여건이 양호한 게 특징이다. 또 5km 이내 기아차 공장, 본촌산업단지, 일산방직 등이 위치해 있고, 전남대, 동강대, 광주교대, 조선대 4개 대학과의 접근성도 양호하다.
이어 북구 도심 내 노후·불량 주거지 밀집지역인 서림마을의 주거지 재생과 연계해 행복주택 약 500호를 공급한다.
지하철 1호선 양동시장역과 버스정류장이 인접해 대중교통 이용이 수월하고, 3km 이내 전남대, 조선대 등 5개 대학에 약 6만 명의 학생이 다니고 있다. 2.6km 이내에는 기아차공장, 일신방직에 근로자 약 1만 명이 근무 중이다.
특히 서림마을은 20년 이상 경과된 주택이 전체의 96% 이상이고, 공·폐가 등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열악한 편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노후·불량 주거지 정비와 함께 젊은 계층의 유입으로 도심 활력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광주 KTX 유휴부지 및 북구 도심재생용지 행복주택 사업시행자로 광주도시공사를 지정해 연내 주택사업승인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또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보유 토지 중 역세권이면서 직주근접이 가능한 고양 삼송 택지지구에 행복주택 약 1360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하철 3호선 원흥역(2015년 개통예정)이 600m 거리로 서울 도심과의 접근성이 양호하며, 동국대 바이오 메디캠퍼스를 비롯해 중부대, 항공대, 농협대, 상명대, 명지대 등이 인근에 위치했다. 상반기 주택사업승인과 함께 올해 말 착공, 2017년 상반기 입주가 목표다.
김정렬 공공주택건설추진단장은 "앞으로 서울시, 인천시 등 지자체 희망사업에 대해 현장방문과 협의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후보지를 선별·확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