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서울 아파트 전세, 도시근로자 꼬박 6년간 돈 모아야

도시근로자 가구가 5.7년간 번 돈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서울시내 아파트 전세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보다 1년 6개월이 늘었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아파트 전세금은 4.1년치, 전국은 3.3년치의 소득에 해당되면서 소득 대비 전세금 부담이 모두 최근 10년 사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114는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 707만여 가구의 전세금과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이처럼 분석됐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은 작년 말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이 3억1265만원으로,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 연간 소득(5527만원)의 5.66배에 달했다.

주요 구별로는 ▲서초 9.74배 ▲강남 9.08배 ▲송파 7.84배 ▲용산 7.71배 순으로 높았다. 그나마 평균 전세가가 낮은 지역인 노원(3.43배), 도봉(3.47배) 등도 3배를 훌쩍 뛰어넘었다.

소득에 대한 서울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PIR)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에는 4.12배에 그쳤다. 하지만 2011년 5.28배까지 상승했다가 2012년 5.15배로 다소 완화된 뒤 지난해 다시 급등했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인 최근 10년(2004∼2013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으로 작년 말 서울시내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전년(2억7767만원) 대비 12.6%나 뛰었다. 또 10년 전인 2004년 말에는 1억5432만원으로 현재의 절반 수준이었다.

다른 지역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은 수도권과 전국 모두 최근 10년 사이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각각 4.05배와 3.25배로 집계됐다.

특히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미만(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5.87배, 수도권이 4.35배, 전국이 3.63배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