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2월 전월세 거래량 전월比 42.2%↑…전세가는 약보합



신학기 수요의 영향으로 지난달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이 전월 대비 40% 이상 급증했다.

20일 국토교통부가 전월세 거래정보시스템을 통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월 전국적으로 14만2292건의 전월세 거래가 이뤄졌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6.2% 늘었고, 1월보다는 42.2%나 증가했다.

통상적으로 2~3월은 신학기 학군 수요의 영향으로 전월세 계약이 빈번한 시기로 매년 전월 대비 거래량이 증가해 왔다. 이에 반해 전년 동월비 6.2%가 늘어난 데는 월세 거래의 증가(15.4%)에 기인했다. 이 기간 전세 거래는 0.4% 증가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9만3128건이 거래돼 전달보다는 46.9%, 전년보다는 5.3% 늘었다. 이 중 서울이 4만5438건으로 작년보다 3.9%, 강남3구가 8917건으로 1.1% 증가했다. 지방은 수도권의 절반 수준인 4만7580건이 거래됐다. 전년 동기에 견줘 8.0% 거래량이 뛰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작년보다 2.5% 늘어난 6만9553건이 전월세 계약을 맺었고, 아파트 외 주택은 9.9% 늘어난 7만4939건 거래된 것으로 파악됐다. 아파트 전셋값이 큰 폭으로 오르며, 그보다 가격이 저렴한 비아파트로 세입자들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임차 유형별로는 전체 주택은 전세가 8만3642건으로 57.9%를 차지했고, 월세도 6만850건으로 42.1%에 이르렀다. 다만, 아파트는 전세 비중이 높아 전세 67.5%(4만6970건), 월세 32.5%(2만2583건)로 집계됐다.

거래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세가격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장재현 부동산뱅크 팀장은 "월세 계약이 늘었고, 전셋값 상승에 부담을 느낀 세입자들이 계약을 주저하면서 다소 하향조정됐다"고 분석했다.

주요 단지의 순수전세 실거래가격을 살펴보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는 1월 3억2000만~4억원까지 거래됐지만 2월에는 3억2000만~3억5000만원에 계약서를 적었다. 또 서초구 반포동 미도아파트 84㎡는 4억5000만원에서 4억원으로 하향조정됐다.

이외 노원구 중계동 그린1단지 49㎡가 1억6000만원에서 1억5000만원으로, 산본신도시 세종아파트 49㎡가 1억8000만~1억8500만원에서 1억8000만원으로, 용인 죽전 새터마을 힐스테이트 85㎡가 3억500만원에서 2억6000만~2억9600만원으로 전세가가 낮아졌다.

전월세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정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홈페이지(rt.mltm.go.kr) 또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