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경매/재테크

제주 분양형 호텔 봇물…지금 투자해도 될까?

공급과잉으로 오피스텔·원룸 등 기존 수익형부동산의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분양형 호텔'이 틈새 상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최근 1~2년 사이 공급이 부쩍 늘면서 한때 투자 열풍이 불었다 지금은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한 도시형생활주택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분양형 호텔이 가장 활발하게 공급되고 있는 제주도의 경우 이미 투자 적신호가 켜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한해 제주에서 공급된 호텔은 1443실 규모다. 여기에 올 상반기 분양됐거나 분양될 호텔도 3000여 실에 달할 전망이다.

이처럼 제주도에서 호텔 분양이 잇따르고 있는 데는 관광객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제주관광협회에 의하면 2008년 582만 명이었던 제주도 관광객 수는 지난해 1085만 명까지 늘었다. 이에 반해 호텔은 1만6000여 실에 불과해 만성적인 숙박시설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문제는 부족한 객실 수에 비해 공급되는 호텔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김학권 세중코리아 대표는 "제주도에서 부족한 객실 수는 5000여 실이지만 현재까지 3700실 정도가 분양됐다"며 "공급과잉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분양형 호텔과 경쟁 관계에 있는 게스트하우스, 일반 광광호텔, 펜션 등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공급과잉은 더 심각하다. 제주도 관광숙박시설 승인 현황을 보면, 2010년 509실에서 ▲2011년 1427실 ▲2012년 6235실 ▲2013년 7052실로 매년 급증 추세다.

외국인 관광객의 80%를 차지하는 중국인들이 분양형 호텔로 몰릴 지도 장담하기 어렵다. 현재 중국 관관객들의 필수 코스로 자리 잡은 바우젠거리의 상가 대부분도 중국인들이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중국 자본에 의해 제주시 도심에 지어지는 56층 규모의 드림타워 초고층 호텔이 문을 열 경우 분양형 호텔은 타격이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장경철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중국인들이 제주도를 많이 찾고 있지만 중국 자본이 투자된 곳에서 소비하는 경향이 짙어, 우리나라 분양형 호텔에 투숙한다는 보장이 없다"며 "벌써 분양형 호텔은 끝물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작년 분양한 호텔들은 대부분 80~90%의 계약률을 올렸지만 올 들어 공급된 R·D호텔 등은 30~50%밖에 팔리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미 공급이 넘친 상태에서 앞으로 나올 호텔들은 이보다 계약률이 더 낮을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이는 곧 수익률 저하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장경철 이사는 "호텔 투자를 염두에 두고 있는 수요자라면 관광객이 많이 찾는 입지는 기본으로 갖추되, 명확한 콘셉트를 가진 상품을 고르는 게 중요하다"며 "외곽에 브랜드 없는 나홀로 호텔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