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이후 기존 주택시장과 함께 청약열기도 한 풀 꺾였던 부산 분양시장이 올 들어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분양된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순위 내 마감을 기록하는가 하면, 미분양 아파트도 감소 추세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부산에서 신규 분양된 7개 단지 중 4곳이 순위 내 마감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 동래구 사직동 '사직역 삼정그린코아 더베스트'는 평균 47.49대 1, 최고 148.98대 1이라는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연제구 연산동 '일동미라주' 8.45대 1, 남구 용호동 'W' 6.49대 1, 기장관 정관면 '정관신도시 이지더원5차' 1.32대 1 순으로 집계됐고, 순위 내 마감은 안 됐지만 강서구 명지동 '명지협성휴포레'가 0.99대 1을 기록했다.
부영이 강서구 신호지구에서 선보인 '사랑으로2차'와 '사랑으로3차(임대)' 2개 단지를 제외하고는 무난한 성적을 거둔 셈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부산 분양시장이 지난 2011년의 청약열기를 재연하는 게 아니냐는 조심스런 예측이 나오고 있다.
2011년은 1년 평균 청약경쟁률이 11.84대 1에 이를 정도로 부산 분양시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때다. 당시 분양한 해운대구 중동 '래미안 해운대'가 평균 81.45대 1, 최고 252.25대 1을 기록한 바 있다.
이후 2012년 입주물량 증가, 매매가 급등 등으로 기존 주택시장이 하락세로 접어들면서 분양시장 열기도 식었다가 올 들어 공급된 단지들의 성적이 좋고, 작년 6896가구에 달했던 미분양주택이 최근 4131가구까지 줄면서 회복론에 무게가 실리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부산 분양시장의 본격 회복을 예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이다. 지역차가 뚜렷하고 공급물량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2월 높은 청약률을 기록한 2개 단지의 경우 새 아파트 공급이 적고, 비교적 입지가 좋은 곳에 위치했다는 평가다.
임병철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2월 좋은 성적을 거둔 단지도 있지만 3월에는 그렇지 않은 단지도 있었다"며 "부산은 최근 수년간 공급이 많았고, 올해도 2만1000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라 청약을 계획하고 있는 수요자라면 분양가, 입지여건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