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액이 작년 같은 기간(134억 달러)보다 31% 증가한 175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역대 1분기 수주실적 가운데 2010년 1분기의 281억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우리 기업간 경쟁력을 갖춘 부분의 합작(컨소시엄)을 통한 시너지 효과와 그간 수주지원단 파견 등으로 인한 신시장 개척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파악된다.
지역별로는 중동이 139억 달러로 전체 수주액의 79%를 차지해 전통적인 텃밭 지역을 중심으로 수주가 호조세를 보였다. 반면, 아시아와 중남미는 각각 23억 달러와 10억8000 달러로 13.1%와 6.2%를 점유하는데 그쳤다.
이 중 중동지역에서는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60억4000달러), 알제리 복합화력발전소 5개소(33억5000달러) 등 대규모 플랜트 공사 수주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54억 달러)보다 158% 증가하는 쾌거를 이뤘다.
아시아에서는 베트남 빈탄4 석탄화력발전소(15억 달러)를 수주했으나, 대규모 플랜트·토목 공사 수주가 감소하며 지난해 동기(74억 달러) 대비 31% 수준에 머물렀다.
중남미는 전체 수주액은 크지 않았지만 신시장 개척 노력을 강화한 결과, 칠레 BHP 복합화력 프로젝트(4억4000달러)와 Chacao 교량건설사업(3억3000달러) 등을 수주해 전년 동기(6000달러) 대비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공종별로는 대형 정유공장 및 발전소 공사 등 플랜트 수주가 이어지며 플랜트 건설이 162억 달러로 전체의 92%를 차지했다. 이어 토목 6억4000달러(3.6%), 건축 3억9000달러(2.2%) 순으로 집계됐다.
국토부는 중동 산유국의 대형 플랜트 발주가 지속됨에 따라 세계적 수준의 EPC(실시설계·자재조달·시공) 경쟁력을 보유한 우리 기업의 플랜트 수주 강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한편, 국토부는 올해 해외수주 목표 700억 달러 달성을 위해 그동안 입증 받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메가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도록 타깃형 수주지원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신규 진출 국가에 대해서는 국가간 협력기반을 공고히 해 진출 시장 및 공종이 다변화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수주지원 활동을 계획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폭넓은 지원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수주기회를 확대하도록 하겠다"며 "2월 개소한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를 활용해 주요 지역별 진출 전략과 해외진출 리스크 정보를 제공하고, 마스터플랜 수립지원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