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3개월 연속 상승했던 주택사업환경지수가 '2·26 전월세대책'의 영향으로 하락세로 전환됐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 4월 전망치는 135.2로 집계됐다. 지난달 전망치 155.4에 비해 20.2포인트 하락했다. 3월 실적치 역시 117.0에 불과해 전망치와 큰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부산(141.7), 경남(132.0), 광주(127.5), 전남(123.7) 등 지방은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 서울 133.3(39.1포인트↓), 경기 134.2(28.4포인트↓), 인천 116.7(21.1포인트↓) 등 수도권은 하락했다. 또 대구(143.4)는 지수는 가장 높았지만 전달과 비교해서는 5.4포인트 내렸다.
이 같은 하락세의 원인으로는 2·26 임대차시장 선진화방안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세대책이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5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특히 기존 매매시장에 타격을 줬다는 답변이 59%에 달했다.
김지은 책임연구원은 "실수요 중심의 분양시장이 활기를 띠고는 있지만 주택시장 회복으로 이어지기에는 여력이 부족한 모습"이라며 "분양시장의 열기마저 사라지면 다시 침체 분위기로 접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기존 주택시장과는 달리, 분양계획에 대한 기대치는 4개월 연속 상승한 131.7을 기록했다. 전달보다 8.8포인트 올랐다. 다만, 분양실적 지수와 미분양지수는 각각 137.5(1.9포인트↓), 49.0(10.2포인트↑)을 보이며, 분양시장 위축에 대한 우려를 자아냈다.
김 연구원은 "전체적인 분양시장은 호황이지만 가격과 입지에 따라 결과가 나뉘고 있어 분양실적 지수는 하락하고 미분양 발생에 대한 우려도 증가했다"며 "실적 지수가 계획 지수와 함께 움직여야 분양시장의 회복 분위기가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에 소속된 500개 이상 회원사를 대상으로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8일까지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