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4월 주택시장지수 86.0, 전달 대비 26포인트↓



주택시장지수가 크게 하락했다. 2.26대책의 전월세 과세 발표 이후 비수기까지 겹쳐 시장은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다.

19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4월 주택시장지수는 전월 대비 25.9포인트 하락한 86.0을 기록했다. 최근 3개월 연속 상승세가 끊기며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매수세지수는 60.4로 전월(79.1)대비 18.7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서울 54.0(26.7포인트↓) ▲경기도 65.0(15.5포인트↓) ▲지방 74.0(2.6포인트↓)을 기록했다.

3월 중순경부터 줄기 시작한 매수세는 4월 들어 더욱 확산되는 모습이다. 상승세를 주도했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는 매수세가 없어 2주 이상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매수심리를 자극할 만한 요인이 없어 관망세는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서초구 잠원동 S공인 관계자는 "매매는 개점휴업 일정도로 매수세가 없다"며 "연내 이주를 앞두고 있는 단지가 있어 전세수요는 있으나 물건은 귀한 편이다"고 말했다.

거래량지수는 60.0을 기록, 전월(93.7)보다 33.7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이 39.0포인트 하락한 55.3를 나타냈고, 경기와 지방은 각각 39.1포인트, 3.9포인트 내린 62.1, 71.9를 기록했다.

거래절벽까지 고려할 만큼 3월 중순 이후 거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전세는 중대형을 중심으로 물건이 적체되는 곳들이 속속 증가하고 있지만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거래가 줄고 있다.

양천구 신정동 W공인 관계자는 "1분기 반짝 상승했던 거래는 4월 들어서는 보기가 어려워 졌다. 다시 거래절벽 상황이 오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매물량지수 역시 102.3을 기록해 전월 126.9에 견줘 24.6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100.5(25.2포인트↓) ▲경기도 104.3(20.9포인트↓) ▲지방 106.8(13.5포인트↓)이다.

1~3월 상승 분위기속에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였고 전세도 중대형은 물건은 일부 증가했으나 지역에 상관없이 중소형 물건은 갈수록 귀해져 매물량지수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경기도 이천시 S공인 관계자는 "전셋값 비중이 80~85%에 달해 비수기 임에도 불구하고 전세는 소진되고 있다"며 "일부 매수로 돌아서는 경우도 있지만 매물은 많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가격전망지수는 전달보다 26.5포인트 빠진 121.2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이 32.1포인트 하락하며 117.2를 기록했고, 이어 경기가 29포인트 하락한 127.1, 지방이 2.5포인트 하락한 117.8로 파악됐다.

지난 3월까지 3개월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던 가격전망지수는 4월 들어 시장 관망세가 확산되면서 가격상승 낙관론이 한풀 꺾였다. 대부분의 공인중개사들이 매매가는 보합 또는 약보합세를 기록한다는 응답이 증가했다.

서초구 서초동 H공인은 "2~3월까지 매매가 활발해 수천만원씩 매매가가 올랐었으나 4월 들어 시장이 철저하게 관망세로 돌아서 가격 상승세가 꺾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닥터아파트가 전국 부동산 중개업소 434곳을 대상으로 3월 17일부터 4월 17일까지 한 달간 이뤄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